반응형
34. CPU 내부의 레지스터 중 프로그램 제어와 관계가 있는 것은?
① memory address register ② index register
③ accumulator ❹ status register
이 문제는 CPU 내부 레지스터 중 프로그램 제어와 관련된 것을 묻는 문제입니다. 각 레지스터의 역할을 비교하면 쉽게 정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정답: ❹ status register (상태 레지스터)
🔍 보기 분석
번호 레지스터 명칭 역할 프로그램 제어와 관련 여부 정답 여부
① Memory Address Register (MAR) | CPU가 접근할 메모리 주소를 저장 | ❌ 메모리 주소 관리용, 제어와는 직접 관련 없음 | ❌ | |
② Index Register | 배열 처리, 주소 계산 등에 사용되는 레지스터 (주소 보정) | ❌ 반복문, 배열에는 쓰지만 프로그램 제어 플래그와는 무관 | ❌ | |
③ Accumulator | 연산 결과 저장용(산술/논리 연산) | ❌ 데이터 처리용이지, 흐름 제어와는 무관 | ❌ | |
❹ Status Register (또는 Program Status Word, PSW) | 조건 플래그들 저장 (Zero, Carry, Overflow 등) → 조건 분기나 인터럽트 등 프로그램 흐름 제어에 필수 | ✅ 프로그램 제어와 밀접한 관련 있음 | ✅ |
🧠 Status Register란?
- CPU가 연산을 수행한 결과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
- 프로그램 흐름 제어(분기, 점프, 인터럽트 등)에 조건 제공
- 주요 플래그:
- Zero Flag (Z): 연산 결과가 0이면 1
- Carry Flag (C): 자리 올림 발생 시 1
- Overflow Flag (V): 오버플로 발생 시 1
- Sign Flag (S): 결과가 음수면 1 등
🧑🏫 쉽게 설명하는 팁
"CPU가 무언가 계산을 한 뒤 '결과가 0인지?', '오버플로우는 났는지?' 같은 걸 기억하는 곳이 바로 상태 레지스터예요. 마치 시험 보고 채점한 뒤, 통과했는지 확인하고 다음 행동(통과, 재시험 등)을 결정하는 것과 같죠!"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6번 (0) | 2025.05.11 |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5번 (0) | 2025.05.07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3번 (0) | 2025.05.07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2번 (0) | 2025.05.07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1번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