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4번

엉클지니 2025. 4. 21. 22:41

64. 프로토타입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개발 단계 안에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최종 결과물이 만들어지는 소프트웨어 개발 완료시점에 최초로 오류 발견이 가능하다.

    발주자나 개발자 모두에게 공동의 참조모델을 제공한다.

    사용자나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할 수 있다.

 

 

문제 분석:

이 문제는 **프로토타입 모형 (Prototype Model)**에 대한 설명을 묻고 있습니다. 프로토타입 모형은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 단계에서 최소 기능을 갖춘 시제품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피드백을 받으며 점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개발 방식입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특징과 문제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옵션 분석:

옵션 설명 해당 여부

① 개발 단계 안에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프로토타입 모형에서는 초기 개발 후 수정과 개선이 계속 이루어집니다. 유지보수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되지만, 개발 단계에서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과정입니다. 올바른 설명입니다.
❷ 최종 결과물이 만들어지는 소프트웨어 개발 완료시점에 최초로 오류 발견이 가능하다. 프로토타입 모형은 최초 단계에서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방식입니다. 완성된 후에 오류를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토타입을 반복적으로 수정하면서 오류를 빨리 찾아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③ 발주자나 개발자 모두에게 공동의 참조모델을 제공한다. 프로토타입은 발주자와 개발자 모두가 공동으로 참조할 수 있는 모델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설명입니다.
④ 사용자나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할 수 있다. 프로토타입 모형은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할 수 있습니다. 초기 프로토타입에서 나온 피드백을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개선하기 때문에, 이 설명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정답: ❷ 최종 결과물이 만들어지는 소프트웨어 개발 완료시점에 최초로 오류 발견이 가능하다.


프로토타입 모형에 대한 설명:

프로토타입 모형은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에 빠르게 시제품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피드백을 받으며 점진적으로 수정해 나가는 방법론입니다. 이 방식은 특히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 불명확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프로토타입 모형의 특징:

  1. 초기 프로토타입을 빠르게 만들어 사용자 피드백을 받고, 이 피드백을 반영하여 점진적으로 개선합니다.
  2.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가 초기 모델을 참조하여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조정할 수 있습니다.
  3. 소프트웨어가 완성되기 전에 많은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즉, 오류는 최종 개발 완료 시점이 아닌, 반복적인 프로토타입 수정 과정 중에 발견됩니다.
  4. 사용자의 요구를 잘 반영하며, 점차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스템에 가까운 결과물을 만들어갑니다.

왜 ❷번이 틀렸을까?

프로토타입 모형최종 개발 완료 시점에 오류를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초기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방식입니다. 즉,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개발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오류를 수정하며 완성도를 높여갑니다. 따라서 최종 결과물이 만들어지는 시점에 오류를 처음 발견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정리:

  • 프로토타입 모형최종 개발 완료 시점에 오류를 발견하지 않고, 초기 시제품을 통해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고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결론:

**정답은 ❷ "최종 결과물이 만들어지는 소프트웨어 개발 완료시점에 최초로 오류 발견이 가능하다."**입니다. 프로토타입 모형에서는 초기 단계에서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며, 최종 완료 시점에 오류를 발견하는 방식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