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7번
엉클지니
2025. 4. 23. 22:53
87. 한 개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 측으로부터 ACK 및 NAK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정보전송을 중지하고 기다리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은?
① CRC 방식 ② GO-back-N 방식
❸ Stop-and-Wait 방식 ④ Selective Repeat 방식
정답은: ❸ Stop-and-Wait 방식입니다.
✅ 문제 해설:
이 문제는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자동 재전송 요청) 기법 중 하나를 묻고 있습니다.
주어진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 개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 측으로부터 ACK 또는 NAK를 받을 때까지 대기하는 방식"
이것은 가장 기본적인 ARQ 방식인 Stop-and-Wait ARQ의 정의입니다.
📊 ARQ 방식 비교표
ARQ 방식 설명 장점 단점
❸ Stop-and-Wait ✅ | 한 번에 1개 프레임 전송, 수신측 ACK/NAK를 기다림 | 구현이 간단함 | 대역폭 낭비 큼 (전송 대기 시간 발생) |
② Go-Back-N | 여러 프레임을 연속 전송, 에러 발생 시 그 이후 모든 프레임 재전송 | 효율적 전송 가능 | 에러가 많으면 낭비 증가 |
④ Selective Repeat | 에러난 프레임만 선택적으로 재전송 | 효율이 가장 좋음 | 구현이 복잡 |
① CRC 방식 | 오류 검출 코드 방식 (ARQ 아님) | 오류 검출 정확도 높음 | ARQ 방식이 아님, 정답 아님 |
📝 추가 설명:
- ACK (Acknowledgement): 프레임 수신 성공
- NAK (Negative Acknowledgement): 프레임 수신 실패 → 재전송 요구
📌 핵심 요약:
- 문제의 조건: "하나 전송 후 기다림"
- 정답: ✅ Stop-and-Wait ARQ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