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9번
엉클지니
2025. 4. 23. 23:15
99. 회선 교환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전송속도 및 코드변환이 가능하다.
② 전송 대역폭 사용이 가변적이다.
❸ 물리적인 통신경로가 통신 종료시까지 구성된다.
④ 소량의 데이터 전송에 효율적이다.
정답은: ❸ 물리적인 통신경로가 통신 종료시까지 구성된다.
✅ 문제 해설:
**회선 교환망(Circuit Switching)**은 두 통신 지점 간에 전용 회선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화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되며, 물리적인 경로를 전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합니다.
회선 교환망의 특징:
- 물리적인 통신경로가 통신 종료시까지 구성된다:
- 회선 교환망에서는 통신을 시작할 때 전용 물리적 경로가 설정됩니다. 이 경로는 통신 종료 시까지 유지됩니다. 즉, 회선이 "고정"되므로 데이터 전송 중에는 다른 통신이 이 경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일반적으로 전송속도 및 코드변환이 가능하다:
- 회선 교환망에서는 기본적으로 고정된 전송 경로와 지속적인 전송 속도가 필요합니다. 전송 속도나 코드 변환이 가능할 수 있지만, 이 설명은 회선 교환망의 특징을 정확히 설명하는 것이 아닙니다.
- 전송 대역폭 사용이 가변적이다:
- 회선 교환망은 고정된 대역폭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한 번 회선이 설정되면 해당 대역폭은 가변적이지 않으며 계속해서 고정된 속도로 통신합니다.
- 소량의 데이터 전송에 효율적이다:
- 회선 교환망은 대량의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며, 소량의 데이터 전송에는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회선이 설정된 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대역폭을 차지하기 때문에 소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보기 분석:
보기 설명 판단
❶ | 일반적으로 전송속도 및 코드변환이 가능하다. | ❌ 정확하지 않음. 회선 교환망은 고정된 전송속도와 전용 경로를 사용하며, 코드 변환은 일반적으로 회선 교환망의 주요 특징이 아닙니다. |
② | 전송 대역폭 사용이 가변적이다. | ❌ 틀림. 회선 교환망은 고정된 대역폭을 사용합니다. |
❸ | 물리적인 통신경로가 통신 종료시까지 구성된다. | ✅ 맞는 설명입니다. 회선 교환망에서는 통신을 시작할 때 설정된 경로가 통신 종료까지 지속됩니다. |
④ | 소량의 데이터 전송에 효율적이다. | ❌ 틀림. 회선 교환망은 대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소량 데이터 전송에는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 결론:
- 회선 교환망에서는 통신이 끝날 때까지 물리적인 통신경로가 고정되며, 이 경로는 다른 통신에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 정답: ❸
회선 교환망과 패킷 교환망 등 다른 통신 방식에 대한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알려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