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번
엉클지니
2025. 4. 25. 00:34
1. 데크(Dequ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입력 제한 데크는 Shelf이고, 출력 제한 테크는 Scroll이다.
② 삽입과 삭제가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료 구조이다.
③ 스택과 큐의 장점으로 구성한 것이다.
④ Double Ended Queue의 약자이다.
이 문제는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준비하는 수험생에게 매우 중요한 개념인 데크(Deque) 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예요. 수험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선택지를 자세히 분석하고 개념을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문제:
데크(Dequ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입력 제한 데크는 Shelf이고, 출력 제한 테크는 Scroll이다.
- 삽입과 삭제가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료 구조이다.
- 스택과 큐의 장점으로 구성한 것이다.
- Double Ended Queue의 약자이다.
✅ 데크(Deque)란?
Deque (Double Ended Queue) 는 말 그대로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모두 가능한 자료구조예요.
💡 데크의 특징 요약:
- 앞에서도 삽입/삭제 가능
- 뒤에서도 삽입/삭제 가능
- 따라서 스택(한쪽에서만 삽입/삭제) 과 큐(한쪽에서 삽입, 반대쪽에서 삭제) 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음
- 구현 방식: 배열, 연결 리스트 등으로 가능
🧠 보기별 분석
❶ 입력 제한 데크는 Shelf이고, 출력 제한 테크는 Scroll이다.
📛 틀린 설명입니다!
- "Shelf"와 "Scroll" 이라는 용어는 데크의 유형을 나타내는 올바른 용어가 아닙니다.
- 올바른 유형은 아래와 같아요:
데크의 유형 설명
입력 제한 데크 (Input-restricted deque) | 삭제는 양쪽에서 가능, 삽입은 한쪽에서만 가능 |
출력 제한 데크 (Output-restricted deque) | 삽입은 양쪽에서 가능, 삭제는 한쪽에서만 가능 |
✅ 정답은 ❶번
이유: Shelf, Scroll이라는 용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② 삽입과 삭제가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료 구조이다.
✅ 맞는 설명입니다.
- 데크의 정의 그 자체예요.
③ 스택과 큐의 장점으로 구성한 것이다.
✅ 맞는 설명입니다.
- 데크는 스택처럼 동작할 수도 있고, 큐처럼도 동작할 수 있어서 유연한 자료구조예요.
④ Double Ended Queue의 약자이다.
✅ 맞는 설명입니다.
- "Deque"는 Double Ended Queue의 줄임말로, 공식 명칭입니다.
📘 요약정리 (학생용 요점노트)
구분 설명
데크(Deque) | 양쪽 끝에서 삽입/삭제가 가능한 자료구조 |
구성 목적 | 스택 + 큐의 장점을 결합 |
주요 유형 | 입력 제한 데크, 출력 제한 데크 |
오답 보기 | Shelf, Scroll 같은 용어는 공식이 아님!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