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4번
엉클지니
2025. 5. 1. 23:16
반응형
44. 공개키 시스템(Public key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암호와 해독에 다른 키를 사용한다.
② 암호키는 공개되어 있어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③ 해독키를 가진 사람만이 해독할 수 있다.
❹ 키분배가 비밀키 시스템(Private key system) 보다 어렵다.
이 문제는 암호화 방식의 기본 개념, 특히 공개키(Public Key) 암호화 방식과 관련된 내용을 묻는 정보처리기사의 전형적인 문제입니다. 혼동하기 쉬운 개념이라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문제 분석
문제
공개키 시스템(Public Key System)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공개키 암호화 시스템이란?
- **공개키(Public Key)**와 개인키(Private Key) 두 개의 키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입니다.
- 한 키로 암호화하면, 다른 키로만 복호화할 수 있습니다.
- 보통 암호화는 공개키, 복호화는 개인키로 합니다.
- 대표적인 예: RSA
✅ 보기 분석
번호 보기 내용 설명 정오
① | 암호와 해독에 다른 키를 사용한다. | 공개키와 개인키는 서로 다르며, 이 점이 공개키 시스템의 핵심입니다. | ✅ 옳은 설명 |
② | 암호키는 공개되어 있어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 공개키는 말 그대로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공개됩니다. | ✅ 옳은 설명 |
③ | 해독키를 가진 사람만이 해독할 수 있다. | 해독키(=개인키)는 소유자만 가지고 있으며, 해독은 해당 개인키로만 가능합니다. | ✅ 옳은 설명 |
❹ | 키 분배가 비밀키 시스템보다 어렵다. | ❌ 틀린 설명입니다.공개키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키 분배가 쉽다는 것입니다.공개키는 누구에게나 전달해도 되기 때문에, 비밀키처럼 안전하게 공유할 필요가 없습니다. |
✅ 정답
❹ 키분배가 비밀키 시스템보다 어렵다. → 틀린 설명 → 정답
✅ 개념 정리: 공개키 vs 비밀키 암호화
구분 공개키 암호화 (Public Key) 비밀키 암호화 (Private Key)
키 개수 | 2개 (공개키, 개인키) | 1개 (공통된 비밀키) |
암호화 | 공개키로 | 비밀키로 |
복호화 | 개인키로 | 비밀키로 |
키 분배 | 쉬움 (공개키는 자유롭게 배포) | 어려움 (비밀키는 안전하게 공유 필요) |
속도 | 느림 | 빠름 |
대표 알고리즘 | RSA, ECC | AES, DES |
🧠 쉽게 이해하는 비유
공개키 암호화는 우체통에 편지를 넣는 것과 비슷해요.
누구나 편지를 넣을 수 있지만, 우체통을 여는 열쇠(개인키)는 소유자만 가지고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