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6번
엉클지니
2025. 3. 24. 22:29
16. 럼바우(Rumbaugh) 분석기법에서 정보모델링이라고도 하며,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객체를 찾아내어 속성과 연산 식별 및 객체들 간의 관계를 규정하여 다이어그램을 표시하는 모델링은?
❶ Object ② Dynamic
③ Function ④ Static
이 문제는 럼바우(Rumbaugh) 분석기법에서 사용되는 모델링 기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럼바우 분석기법은 객체 지향 시스템 개발을 위한 분석 기법 중 하나로, 시스템을 객체(Object)로 모델링합니다. 문제에서는 정보모델링에 관한 질문을 묻고 있으며, 정보모델링은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객체를 식별하고, 객체의 속성, 연산, 객체 간 관계를 정의하는 과정입니다.
문제 분석 🧐
- ❶ Object
- Object 모델링은 객체 지향 분석의 기본으로, 시스템의 객체들을 정의하고, 그 객체들이 어떤 속성과 연산을 가질 것인지를 모델링하는 것입니다. 객체 모델링은 객체들의 구조와 행위를 명확히 규정합니다. 하지만 정보모델링의 주요 포커스는 객체 간의 관계와 구조를 나타내는 것에 가까운 정적 모델링이기 때문에 이 선택지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② Dynamic
- Dynamic 모델링은 시스템의 동작, 즉 시간에 따른 상태 변화나 객체 간의 메시지 교환 등을 다루는 모델링입니다. 이는 동적인 상호작용을 표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정보모델링과는 관계가 적습니다. 정보모델링은 객체의 정적 구조에 중점을 두므로, 동적 모델링은 답이 아닙니다.
- ③ Function
- Function 모델링은 시스템의 기능이나 동작에 초점을 맞춘 모델링입니다. 시스템의 주요 기능을 정의하고 그 기능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행위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정보모델링은 주로 객체들의 속성과 관계를 정의하는 것이므로, 기능에 대한 모델링과는 다릅니다.
- ④ Static
- Static 모델링은 시스템의 정적인 구조에 초점을 맞추며, 객체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어떤 속성과 연산을 가질 것인지를 다루는 모델링입니다. 정보모델링에서 말하는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객체를 찾아내어 속성과 연산을 식별하고, 객체들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작업은 바로 정적 모델링에 해당합니다. 이 모델링 방식은 럼바우 분석기법에서 정보모델링에 해당합니다.
결론 🌟
정답: ④ Static
**정적 모델링(Static Modeling)**은 시스템의 객체들과 그 객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데 중점을 두며, 정보모델링에서 다루는 주요한 개념입니다.
요약 표 📊
번호 설명 맞는지 여부
❶ | Object 모델링: 객체들을 정의하고 연관짓는 모델링 | ❌ 틀림 |
② | Dynamic 모델링: 객체 간의 상호작용과 시간에 따른 변화를 모델링 | ❌ 틀림 |
③ | Function 모델링: 시스템의 기능적인 측면을 모델링 | ❌ 틀림 |
④ | Static 모델링: 객체의 속성, 연산, 관계를 정의하는 모델링 | ✅ 맞음 |
정적 모델링은 정보모델링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시스템의 객체 구조와 객체 간 관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