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88. 정보보호를 위한 암호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평문 – 암호화되기 전의 원본 메시지
② 암호문 – 암호화가 적용된 메시지
❸ 복호화 – 평문을 암호문으로 바꾸는 작업
④ 키(Key) - 적절한 암호화를 위하여 사용하는 값
문제 분석
문제: 정보보호를 위한 암호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고르세요.
- ① 평문 – 암호화되기 전의 원본 메시지
- ② 암호문 – 암호화가 적용된 메시지
- ❸ 복호화 – 평문을 암호문으로 바꾸는 작업
- ④ 키(Key) - 적절한 암호화를 위하여 사용하는 값
암호화 관련 용어 설명
- 평문 (Plaintext)
- 평문은 암호화되지 않은 원본 메시지입니다. 즉,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입니다.
- 예: "안녕하세요"라는 메시지는 평문입니다.
- 암호문 (Ciphertext)
- 암호문은 암호화된 메시지입니다. 암호화된 형태로, 사람이 읽을 수 없고 키를 사용해 복호화해야만 원래 메시지(평문)로 돌아갑니다.
- 예: 평문 "안녕하세요"가 암호화되어 "3g4h5j9k"와 같은 암호문이 될 수 있습니다.
- 복호화 (Decryption)
- 복호화는 암호문을 원래의 평문으로 바꾸는 작업입니다. 즉, 암호화된 데이터를 다시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 복호화는 암호문을 평문으로 바꾸는 작업이지, 문제에서처럼 평문을 암호문으로 바꾸는 작업은 암호화에 해당합니다.
- 키 (Key)
- 암호화와 복호화 작업에서 사용되는 값입니다. 키는 암호화 방식을 결정하고, 메시지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메시지라도 키가 달라지면 암호문도 달라집니다.
결론:
문제에서 제시된 설명 중 **"복호화 – 평문을 암호문으로 바꾸는 작업"**은 틀린 설명입니다. 복호화는 암호문을 평문으로 바꾸는 작업이어야 하므로, ❸번이 틀린 설명입니다.
정답: ❸ 복호화 – 평문을 암호문으로 바꾸는 작업
정리된 표:
선택지 설명
① 평문 | 암호화되기 전의 원본 메시지 (맞는 설명) |
② 암호문 | 암호화가 적용된 메시지 (맞는 설명) |
❸ 복호화 | 평문을 암호문으로 바꾸는 작업 → 틀린 설명, 복호화는 암호문을 평문으로 바꾸는 작업 |
④ 키 | 적절한 암호화를 위한 값을 사용하는 것 (맞는 설명) |
이모티콘으로 요약:
🔑 평문 = 원본 메시지
🔒 암호문 = 암호화된 메시지
🔓 복호화 = 암호문 → 평문 (❌ 평문을 암호문으로 바꾸지 않음)
🔑 키 = 암호화/복호화에 사용되는 값
😊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0번 (2) | 2025.03.28 |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9번 (1) | 2025.03.28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7번 (0) | 2025.03.28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6번 (0) | 2025.03.28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5번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