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1072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1번

71.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예상되는 각종 돌발 상황을 미리 예상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는 일련의 활동은? ① 일정관리 ② 코드관리 ❸ 위험관리 ④ 모형관리 정답은 ❸ 위험관리입니다.✅ 문제 해석: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예상되는 각종 돌발 상황을 미리 예상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는 일련의 활동은 무엇인가?✅ 위험 관리(Risk Management)란?위험 관리는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평가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목표는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완료를 보장하기 위해 예상되는 문제를 사전에 대비하는 것입니다.✅ 위험 관리의 주요 활동:위험 식..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0번

70. 프로토타입 모형의 장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비용과 시간의 절감 ② 책임 한계의 명백한 구분 ❸ 요구사항의 충실 반영 ④ 프로젝트 관리의 용이 ✅ 문제 재해석:프로토타입 모형의 장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요?✅ 프로토타입 모형의 특징:프로토타입 모형은 초기 단계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사용자와의 반복적인 피드백을 통해 요구사항을 점진적으로 반영하는 방식입니다. 즉, 요구사항이 불확실할 때 빠르게 피드백을 받아서 정확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시스템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프로토타입 모형의 장점:요구사항의 충실한 반영:프로토타입을 통해 사용자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시스템이 실제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사용자는 ..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9번

69. Putnam 모형을 기초로 해서 만든 자동화 추정 도구는? ❶ SLIM ② BYL ③ ESTIMACS ④ PERT 정답은 ❶ SLIM입니다.✅ Putnam 모형이란?Putnam 모형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의 크기, 인력, 시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주로 개발 기간과 인력 배분에 대한 추정에 사용됩니다. Putnam 모형은 Effort (노력), Time (시간), Productivity (생산성)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하며,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성능과 비용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자동화 추정 도구:Putnam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자동화 추정 도구는 SLIM입니다...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8번

68.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공학이 가지는 의미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적시성 ② 경제성 ❸ 예술성 ④ 보편타당성 정답은 ❸ 예술성입니다.✅ 문제 핵심: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공학이 가지는 의미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무엇인가?✅ 소프트웨어 공학의 의미:소프트웨어 공학은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설계, 개발, 유지보수하는 학문입니다. 여기서의 "공학"은 효율성, 경제성, 기술적 정확성을 강조하며, 예술성은 공학의 주요 개념과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각 보기 분석:번호 항목 의미 공학과의 관계① 적시성시간 내에 프로젝트가 완료되는 것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중요한 요소인 효율성과 관계 있음 ② 경제성소프트..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7번

67. 소프트웨어 품질 목표 중 “정확하고 일관된 결과로 요구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능력”에 해당하는 것은? ① Efficiency ② Incorrectness ③ Integrity ❹ Reliability 정답은 **❹ Reliability (신뢰성)**입니다.✅ 문제 핵심:"정확하고 일관된 결과로 요구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능력"은 어떤 소프트웨어 품질 목표인가?이는 시스템이 오류 없이,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동작함을 의미하므로, **신뢰성(Reliability)**에 해당합니다.✅ 보기별 개념 비교:보기 품질 속성 설명① Efficiency (효율성)자원(시간, 메모리 등)을 얼마나 효율적..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6번

66. 럼바우 분석 기법에서 자료흐름도를 사용하여 프로세서들의 처리 과정을 기술하는 것은? ① 객체 모델링 ❷ 기능 모델링 ③ 동적 모델링 ④ 정적 모델링 정답은 ❷ 기능 모델링입니다.✅ 문제 핵심:럼바우(Rumbaugh)의 분석 기법 중에서 "**자료 흐름도(DFD)**를 사용하여 프로세스 처리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 무엇인가?이것은 **"기능 모델링(Function Modeling)"**에 해당합니다.✅ Rumbaugh의 OMT(Object Modeling Technique) 3가지 주요 모델:모델 유형 설명 주요 도구① 객체 모델링시스템의 **정적 구조(클래스, 객체, 속성, 관계)**를 표현클래스 다이어그램❷ 기능 모델링시스템의 처리 흐름, 기능 ..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5번

65. 일정 계획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❶ 프로그램 - 명세서 ② 작업 분해 ③ CPM 네트워크 ④ 간트 차트(Cant Chart) 정답은 ❶ 프로그램 - 명세서입니다.✅ 문제 요약:일정 계획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을 고르는 문제입니다.✅ 보기별 설명:번호 항목 설명 일정 계획 관련 여부❶ 프로그램 - 명세서소프트웨어의 요구사항과 기능 정의를 기술한 문서 (분석단계 산출물)❌ 관계 없음 ② 작업 분해 (WBS)Work Breakdown Structure: 프로젝트를 세부 작업으로 분해하여 일정 및 자원 계획 수립에 사용✅ 관련 있음 ③ CPM 네트워크Critical Path Method: 프로젝트의 일정 계획 및 최장 경로 분석 기법✅ 관련 있음 ④ 간트..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4번

64. 다음의 소프트웨어 검사 기법 중 성격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① 동치 분할 검사 ② 경계값 분석 ③ 비교 검사 ❹ 기초 경로 검사 정답은 ❹ 기초 경로 검사입니다.✅ 문제 요약:제시된 소프트웨어 검사 기법 중에서 성격이 다른 하나를 찾는 문제입니다.✅ 각 기법의 분류 및 특징:번호 검사 기법 분류 설명① 동치 분할 검사블랙박스 테스트입력 데이터를 **유효한 범위(동치 클래스)**로 나누어 대표값만 테스트 ② 경계값 분석블랙박스 테스트입력 값의 **경계값(최소, 최대, 경계 부근)**에서 오류가 자주 발생하므로 이를 집중 테스트 ③ 비교 검사블랙박스 테스트실제 결과와 예상 결과를 비교하여 **차이점(오류)**을 찾는 방식 ❹..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3번

63. 정형 기술 검토(FTR: Formal Technical Review)의 지침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자원과 시간 일정을 할당한다. ② 문제 영역을 명확히 표현한다. ❸ 참가자의 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④ 모든 검토자를 위해 의미 있는 훈련을 행한다. 정답은 ❸ 참가자의 수를 제한하지 않는다입니다.✅ 문제 핵심:**정형 기술 검토(FTR: Formal Technical Review)**에서의 지침으로 부적절한 것을 묻고 있습니다.✅ 정형 기술 검토(FTR)란?정형 기술 검토는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을 위해 **개발 산출물(설계서, 코드, 요구사항 등)**을 사전에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절차입니다.FTR은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고, 품질을 향상시키며, 비용을 절감하는 데..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2번

62. S/W 유지보수 작업의 목적이 아닌 것은? ❶ 설계수정 ② 예방조치 ③ 환경적응 ④ 하자보수 정답은 ❶ 설계수정입니다.✅ 문제 요약:"소프트웨어 유지보수의 목적이 아닌 것"을 묻는 문제입니다.✅ 소프트웨어 유지보수(S/W Maintenance)의 4대 목적 (IEEE 기준)유형 설명① 수정 유지보수(Corrective Maintenance)버그나 결함 수정 → 하자보수② 적응 유지보수(Adaptive Maintenance)운영 환경(예: OS, DB 등) 변화에 적응 → 환경적응③ 완전 유지보수(Perfective Maintenance)성능 개선, 사용자 요구 반영 → 기능 향상④ 예방 유지보수(Preventive Maintenance)미래 문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