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 스트림 암호화 방식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트/바이트/단어들을 순차적으로 암호화한다.
❷ 해쉬 함수를 이용한 해쉬 암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③ RC4는 스트림 암호화 방식에 해당한다.
④ 대칭키 암호화 방식이다.
✅ 문제 분석
주어진 문제는 **스트림 암호화 방식(Stream Cipher)**에 대한 내용을 묻고 있으며, 옳지 않은 설명을 고르는 문제입니다.
스트림 암호화 방식은 데이터를 비트 단위 또는 바이트 단위로 순차적으로 암호화하는 방식입니다.
📌 스트림 암호화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스트림 암호화(Stream Cipher) | 데이터를 비트/바이트 단위로 순차적으로 암호화 |
블록 암호화(Block Cipher) |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예: 64비트, 128비트) 블록 단위로 암호화 |
대표적인 스트림 암호화 알고리즘 | RC4, A5/1, Salsa20 등 |
특징 | 빠르고 실시간 데이터 암호화에 적합 (예: 음성 통신, 영상 스트리밍) |
🔍 선택지 분석
번호 설명 정답 여부
① 비트/바이트/단어들을 순차적으로 암호화한다. | ✅ 정답 (맞는 설명)스트림 암호화는 데이터를 작은 단위(비트, 바이트)로 암호화합니다. | |
❷ 해쉬 함수를 이용한 해쉬 암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 ❌ 오답 (틀린 설명)스트림 암호화는 **해시 함수(Hash Function)**가 아닌 키 스트림(Key Stream) 생성 방식을 사용합니다. | |
③ RC4는 스트림 암호화 방식에 해당한다. | ✅ 정답 (맞는 설명)RC4는 대표적인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입니다. | |
④ 대칭키 암호화 방식이다. | ✅ 정답 (맞는 설명)스트림 암호화 방식은 대칭키(Symmetric Key) 암호화 방식 중 하나입니다. |
📝 정답 및 해설
👉 정답: ② 해쉬 함수를 이용한 해쉬 암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스트림 암호화 방식은 **해시 함수(Hash Function)**를 이용한 암호화가 아니라,
키 스트림(Key Stream)과 XOR 연산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 해시 함수는 데이터 무결성 검사나 디지털 서명에 주로 사용되므로 스트림 암호화 방식과는 다릅니다.
🎯 예시
✔ 스트림 암호화 예제 (RC4 사용)
- 키 스트림 생성: RC4 알고리즘이 난수를 생성하여 키 스트림(Key Stream)을 만듦
- 평문 데이터와 XOR 연산: 평문 데이터와 키 스트림을 XOR 연산하여 암호문 생성
- 복호화: 암호문과 동일한 키 스트림을 다시 XOR 연산하면 원래 평문 복구
📌 RC4 암호화 예제
평문 H E L L O
키 스트림 | K1 | K2 | K3 | K4 | K5 |
암호문 | H⊕K1 | E⊕K2 | L⊕K3 | L⊕K4 | O⊕K5 |
💡 결론
스트림 암호화 방식은 데이터를 비트/바이트 단위로 순차적으로 암호화하는 방식으로, 빠르고 실시간 통신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해시 함수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②번이 틀린 설명입니다.
🎉 이렇게 기억하면 쉬워요!
✅ "스트림 암호화 = 실시간 데이터 보호! 🚀 하지만 해시 함수는 사용 안 함! ❌" 😊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6번 (0) | 2025.03.28 |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5번 (0) | 2025.03.28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3번 (0) | 2025.03.28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2번 (0) | 2025.03.28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1번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