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2번

엉클지니 2025. 4. 1. 19:02

22.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구축유형 중 Hybri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Hub &SpokeMessage Bus의 혼합방식이다.

    필요한 경우 한 가지 방식으로 EAI구현이 가능하다.

    데이터 병목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중간에 미들웨어를 두지 않고 각 애플리케이션을 point to point로 연결한다.

 

 

 

문제 분석 및 해설

이 문제는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구축 유형 중 Hybrid에 대한 설명에서 틀린 내용을 찾는 문제입니다. EAI는 여러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효율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입니다. EAI 구축 유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 HybridHub & SpokeMessage Bus 방식을 혼합한 접근 방식을 의미합니다.

각 선택지를 하나씩 분석해 보겠습니다.


Hub & Spoke와 Message Bus의 혼합방식이다.

  • 맞는 설명입니다. Hybrid EAIHub & Spoke 방식Message Bus 방식을 혼합한 방식입니다. Hub & Spoke 방식은 중앙에 허브를 두고, 모든 시스템이 허브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이고, Message Bus 방식은 메시지 버스를 통해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입니다. Hybrid는 두 가지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입니다.
  • 정답: 맞습니다. Hybrid EAI는 Hub & Spoke와 Message Bus의 혼합 방식입니다.

필요한 경우 한 가지 방식으로 EAI 구현이 가능하다.

  • 맞는 설명입니다. Hybrid EAI는 기본적으로 혼합 방식이지만, 경우에 따라 단일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합니다. 즉, Hub & Spoke 방식이나 Message Bus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한 가지 방식만 사용하기도 합니다.
  • 정답: 맞습니다. 필요에 따라 한 가지 방식으로 EAI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병목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 맞는 설명입니다. Hybrid EAI는 두 가지 방식의 장점을 결합하기 때문에, 중앙화된 시스템의 부하를 분산시키고, 데이터 병목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Hub & Spoke와 Message Bus를 적절히 활용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흐름을 유도합니다.
  • 정답: 맞습니다. Hybrid 방식은 데이터 병목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중간에 미들웨어를 두지 않고 각 애플리케이션을 point to point로 연결한다.

  • 틀린 설명입니다. Hybrid EAI미들웨어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미들웨어는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중개 역할을 하여 데이터 흐름을 관리하고, 다양한 시스템 간의 통합을 지원합니다. 그러나 point-to-point 연결 방식은 EAI 구축 유형 중 하나인 P2P(Point-to-Point) 방식에 해당합니다. Hybrid EAI는 중간에 미들웨어(혹은 메시지 버스)를 두고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 정답: 틀린 설명입니다. Hybrid EAI는 미들웨어를 사용하는 방식이지, point-to-point 연결 방식이 아닙니다.

결론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❹ 중간에 미들웨어를 두지 않고 각 애플리케이션을 point to point로 연결한다입니다. Hybrid EAI는 미들웨어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요약표

번호 설명 정답 여부

Hub & Spoke와 Message Bus의 혼합 방식이 맞습니다. 맞음
필요에 따라 한 가지 방식으로 EAI 구현이 가능하다는 설명이 맞습니다. 맞음
데이터 병목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 맞습니다. 맞음
Hybrid 방식은 point-to-point 연결 방식이 아니며, 미들웨어를 사용합니다. 틀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