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 HRN 방식으로 스케줄링 할 경우, 입력된 작업이 다음과 같을 때 처리되는 작업 순서로 옳은 것은?
① A→B→C→D ② A→C→B→D
❸ D→B→C→A ④ D→A→B→C
😊
이 문제는 HRN(Highest Response Ratio Next)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는 문제입니다.
정보처리기사에서 자주 나오는 개념이니, 꼭 이해하고 넘어가야 해요!
아래에 문제 분석 → 해설 → 예시 계산 → 결론 순으로 천천히 알려드릴게요. 🧠✨
🌟 1. 문제 분석
작업 대기시간 (W) 실행시간 (S)
A | 5 | 20 |
B | 40 | 20 |
C | 15 | 45 |
D | 20 | 2 |
- HRN 스케줄링은 "응답률(Response Ratio)"을 계산해서 가장 높은 작업부터 처리해요!
- 응답률 공식:응답률(R)=대기시간(W)+서비스시간(S)서비스시간(S)=1+대기시간(W)서비스시간(S)응답률(R) = \frac{대기시간(W) + 서비스시간(S)}{서비스시간(S)} = 1 + \frac{대기시간(W)}{서비스시간(S)}
🔍 2. 응답률 계산 (HRN)
작업 대기시간 (W) 서비스시간 (S) 응답률 (R = 1 + W/S)
A | 5 | 20 | 1 + 5/20 = 1.25 |
B | 40 | 20 | 1 + 40/20 = 3.00 |
C | 15 | 45 | 1 + 15/45 = 1.33 |
D | 20 | 2 | 1 + 20/2 = 11.00 |
✅ 가장 높은 응답률은 D → 11.0
→ 따라서 첫 번째 작업은 D!
🧮 3. 순서대로 계산하기
✅ 첫 번째 작업: D (실행시간 2)
- D 실행 → 다른 작업들의 대기시간 +2 증가
- 대기시간 갱신:
- A: 5 + 2 = 7
- B: 40 + 2 = 42
- C: 15 + 2 = 17
✅ 두 번째 작업: B (응답률 재계산)
작업 대기시간 서비스시간 응답률
A | 7 | 20 | 1.35 |
B | 42 | 20 | 3.10 ✅ |
C | 17 | 45 | 1.38 |
→ B가 제일 높음! → 두 번째 작업은 B
✅ 세 번째 작업: B 실행 (실행시간 20)
- B 실행 → 나머지 작업 대기시간 +20
- 대기시간 갱신:
- A: 7 + 20 = 27
- C: 17 + 20 = 37
✅ 네 번째 작업: C
작업 대기시간 서비스시간 응답률
A | 27 | 20 | 1 + 27/20 = 2.35 |
C | 37 | 45 | 1 + 37/45 = 1.82 |
→ A가 높음 → 세 번째는 A, 마지막은 C
✅ 최종 순서 정리 💡
순서 작업 응답률 계산 결과
1 | D | 11.00 |
2 | B | 3.10 |
3 | A | 2.35 |
4 | C | 1.82 |
🏁 최종 정답
👉 ③ D → B → A → C
🎓 학생들을 위한 정리 📝
개념 설명
HRN | 응답률이 가장 높은 작업부터 처리하는 방식 |
공식 | R = 1 + (대기시간 ÷ 실행시간) |
핵심 | 대기시간이 길거나 실행시간이 짧을수록 R이 커짐! |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8번 (0) | 2025.04.09 |
---|---|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7번 (0) | 2025.04.09 |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5번 (0) | 2025.04.09 |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5번 (0) | 2025.04.09 |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3번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