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NS차트(Nassi-Schneiderman char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논리의 기술에 중점을 두고 도형을 이용한 표현 방법이다.
② 이해하기 쉽고 코드 변환이 용이하다.
❸ 화살표나 GOTO를 사용하여 이해하기 쉽다.
④ 연속, 선택, 반복 등의 제어 논리 구조를 표현한다.
문제 분석:
이 문제는 **NS차트 (Nassi-Schneiderman Chart)**에 대한 설명을 묻고 있습니다. NS차트는 **흐름도(flowchart)**와 유사한 구조적 도표를 사용하여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램의 논리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프로그래밍의 제어 구조(연속, 선택, 반복 등)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각 선택지는 NS차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그 중 옳지 않은 것을 찾는 문제입니다.
옵션 분석:
옵션 설명 해당 여부
① 논리의 기술에 중점을 두고 도형을 이용한 표현 방법이다. | NS차트는 논리적인 흐름을 도형으로 표현하므로, 올바른 설명입니다. | ✅ |
② 이해하기 쉽고 코드 변환이 용이하다. | NS차트는 코드 변환이 비교적 용이하며, 논리 구조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올바른 설명입니다. | ✅ |
❸ 화살표나 GOTO를 사용하여 이해하기 쉽다. | NS차트는 화살표나 GOTO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도형을 사용하여 제어 구조를 나타냅니다. 잘못된 설명입니다. | ❌ |
④ 연속, 선택, 반복 등의 제어 논리 구조를 표현한다. | NS차트는 연속, 선택, 반복 제어 구조를 표현하는 데 매우 적합합니다. 올바른 설명입니다. | ✅ |
정답: ❸ 화살표나 GOTO를 사용하여 이해하기 쉽다.
NS차트에 대한 설명:
NS차트는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의 흐름을 도형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주로 제어 흐름을 명확하게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연속, 선택, 반복 등의 제어 구조를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특징:
- 논리적 구조를 중심으로 표현하며, 코드 변환이 용이하여 알고리즘을 쉽게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도형을 사용하여 제어 구조를 나타내므로 화살표나 GOTO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 연속적 흐름, 조건문 (선택), 반복문 등 기본적인 제어 구조를 명확하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왜 ❸번이 틀렸을까?
NS차트는 화살표나 GOTO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구조화된 도형을 사용하여 알고리즘의 흐름을 명확하게 나타냅니다. GOTO문은 논리적인 흐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NS차트에서는 이를 사용하지 않으며, 그 대신 직관적인 도형과 명확한 흐름을 통해 이해를 돕습니다.
정리:
- NS차트는 논리 구조와 제어 흐름을 도형으로 표현하며, 화살표나 GOTO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 이 점을 이해하면 ❸번 옵션이 왜 틀린 설명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결론:
**정답은 ❸번 "화살표나 GOTO를 사용하여 이해하기 쉽다."**입니다. NS차트는 GOTO나 화살표를 사용하지 않으며, 대신 도형을 사용하여 논리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5번 (0) | 2025.04.21 |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4번 (0) | 2025.04.21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2번 (0) | 2025.04.21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1번 (1) | 2025.04.21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0번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