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 DFD(Data Flow Diagram)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❶ 단말(Terminator)은 원으로 표기한다.
② 구조적 분석 기법에 이용된다.
③ 자료 흐름과 기능을 자세히 표현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세분화된다.
④ 자료 흐름 그래프 또는 버플(Bubble)차트라고도 한다.
이 문제는 **DFD (Data Flow Diagram)**에 대한 설명으로, DFD가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문제입니다.
DFD는 시스템의 자료 흐름과 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입니다. 이제 하나씩 살펴볼게요!
❖ DFD (Data Flow Diagram)란?
- DFD는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흐르고 처리되는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구조적 분석 도구입니다.
- 단계적 세분화를 통해 시스템의 세부 동작을 상세히 분석하고, 자료 흐름과 처리 기능을 명확하게 표현합니다.
❖ 보기 분석
❶ 단말(Terminator)은 원으로 표기한다. ❌ 정답
- ❗ 이건 틀린 설명입니다!
- ▶ **단말(Terminator)**은 사각형으로 표시됩니다.
- 단말은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는 외부 엔티티입니다.
- 보통 사각형 모양으로 그리며, 사용자는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외부 주체를 의미합니다.
- ✔️ 원은 프로세스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② 구조적 분석 기법에 이용된다. ✅
- ✔️ 맞는 설명입니다.
- ▶ DFD는 구조적 분석(Structured Analysis) 기법 중 하나로, 시스템의 기능과 자료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 ▶ 기능과 데이터 흐름을 분석하여 시스템 설계를 돕는 도구입니다.
③ 자료 흐름과 기능을 자세히 표현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세분화된다. ✅
- ✔️ 맞는 설명입니다.
- ▶ DFD는 계층적으로 단계적으로 세분화가 가능하여, 시스템의 전체적인 흐름에서부터 세부적인 프로세스까지 점진적으로 상세화할 수 있습니다.
- ▶ 상위 DFD에서 하위 DFD로 분할하여,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④ 자료 흐름 그래프 또는 버플(Bubble)차트라고도 한다. ✅
- ✔️ 맞습니다!
- ▶ DFD는 자료 흐름 그래프(Data Flow Graph) 또는 **버블 차트(Bubble Chart)**라고도 불립니다.
- ▶ 버블은 **프로세스(Process)**를 나타내는 원을 의미하며, 데이터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정답: ❶ 단말(Terminator)은 원으로 표기한다.
❖ 한눈에 정리
보기 설명 정오
❶ 단말(Terminator)은 원으로 표기한다. | 틀림 (단말은 사각형으로 표기) | ❌ 정답 |
② 구조적 분석 기법에 이용된다. | 맞음 (구조적 분석에서 DFD 사용) | ✅ |
③ 자료 흐름과 기능을 자세히 표현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세분화된다. | 맞음 (DFD는 계층적으로 세분화) | ✅ |
④ 자료 흐름 그래프 또는 버블(Bubble)차트라고도 한다. | 맞음 (DFD는 자료 흐름 그래프 또는 버블 차트) | ✅ |
❖ 기억하기 좋은 팁
📌 단말은 사각형으로 표시, 프로세스는 원으로 표시! 🔍 DFD는 자료 흐름과 기능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로, 구조적 분석 기법의 핵심 도구입니다.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9번 (0) | 2025.04.23 |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8번 (0) | 2025.04.23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6번 (0) | 2025.04.23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5번 (0) | 2025.04.23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4번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