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5번

엉클지니 2025. 4. 27. 22:33
반응형

15. 속성(attribut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속성은 개체의 특성을 기술한다.

    속성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이다.

    속성은 파일 구조상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에 해당된다.

     속성의 수를 “cardinality" 라고 한다.

 

 

 


15번 문제 보기 하나씩 정확 분석


① 속성은 개체의 특성을 기술한다.

맞습니다!

  • 속성(attribute)은 개체(entity) 가 가지는 특성이나 성질을 설명하는 요소입니다.
  • 예를 들어, "학생"이라는 개체가 있으면 이름, 학번, 생년월일 등이 속성입니다.

➔ 올바른 설명입니다.


② 속성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이다.

맞습니다!

  •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속성이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입니다.
  • 속성은 하나의 값(예: 이름 = "홍길동")을 저장할 수 있는 최소 단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이 설명도 정확합니다.


③ 속성은 파일 구조상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에 해당된다.

맞습니다!

  • 파일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속성(attribute)이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field) 에 해당합니다.
  • 필드(field) = 하나의 데이터 항목 → 이름, 나이, 주소 등과 같은 하나하나의 값입니다.

➔ 이 설명 역시 맞는 설명입니다.


❹ 속성의 수를 "cardinality"라고 한다.

틀렸습니다!

  • "속성의 수"는 차수(Degree) 라고 합니다.
  • 카디널리티(Cardinality)데이터의 수(튜플/행의 수) 를 의미합니다.

구분 의미 예시

차수(Degree) 테이블 속성(열)의 수 이름, 학번, 전공 → 3개
카디널리티(Cardinality) 테이블 데이터(행)의 수 학생 테이블에 100명 등록 → 100

➔ 이 설명은 틀렸습니다.


🎯 결론

  • 틀린 보기는 ❹번입니다.
  • 정답: ❹ 속성의 수를 “cardinality" 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