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 자료흐름도(DFD)의 작성 지침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자료는 처리를 거쳐 변환될 때마다 새로운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
② 자료흐름도의 최하위 처리(process)는 소단위명세서를 갖는다.
❸ 배경도(context diagram)에도 명칭과 번호를 부여해야 한다.
④ 어떤 처리(process)가 출력자료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자료가 반드시 입력되어야 한다.
✅ 정답: ❸ 배경도(context diagram)에도 명칭과 번호를 부여해야 한다.
🧠 개념 설명
**자료흐름도(DFD)**란?
- **자료흐름도(DFD, Data Flow Diagram)**는 시스템의 입력, 출력, 처리 과정과 저장소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도구입니다.
- 시스템이 어떻게 자료를 처리하고 흐름을 형성하는지를 표현하여, 시스템의 이해를 돕습니다.
DFD 작성 지침
- 자료는 처리를 거쳐 변환될 때마다 새로운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
- 맞습니다! 각 처리 과정마다 결과물(변환된 자료)을 새로운 명칭으로 구분하여 명확히 표시해야 합니다.
- 예: 주문을 받은 후 배송 처리되면 "주문"이 아니라 "배송 대기"와 같이 이름을 변경하여 명확하게 구분해야 합니다.
- 자료흐름도의 최하위 처리(process)는 소단위명세서를 갖는다
- 맞습니다! **최하위 처리(process)**는 그 자체로 상세한 명세서가 있어야 합니다.
- 이는 구체적인 처리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입니다.
- 배경도(context diagram)에도 명칭과 번호를 부여해야 한다
- 틀립니다!
- **배경도(Context Diagram)**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요를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으로, 세부적인 번호나 명칭을 부여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습니다.
- 배경도에서는 시스템과 외부 요소들(예: 외부 엔티티) 간의 상호작용을 간략하게 표현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세부 명칭과 번호는 필요하지 않음.
- 어떤 처리(process)가 출력자료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자료가 반드시 입력되어야 한다
- 맞습니다! 출력 자료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입력 자료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 이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자료를 흐르게 하려면 필요한 규칙입니다.
✅ 결론
정답: ❸ 배경도(context diagram)에도 명칭과 번호를 부여해야 한다.
→ 배경도에서는 전체적인 흐름만 나타내며, 세부적인 명칭과 번호를 부여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자료흐름도(DFD)와 관련된 구체적인 예시나 다이어그램 해석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0번 (0) | 2025.05.11 |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9번 (0) | 2025.05.11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7번 (0) | 2025.05.11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6번 (0) | 2025.05.11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5번 (0) | 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