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 X.25프로토콜의 3계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물리 계층 ② 네트워크 계층
③ 데이터링크 계층 ❹ 레코드 계층
이 문제는 X.25 프로토콜의 3계층에 해당하지 않는 계층을 묻고 있습니다. X.25는 OSI 7계층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로,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을 사용하여 통신을 관리합니다. 이 중에서 X.25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계층과 그렇지 않은 계층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문제
92. X.25 프로토콜의 3계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물리 계층
② 네트워크 계층
③ 데이터링크 계층
❹ 레코드 계층
✅ 정답
❹ 레코드 계층
✅ 해설
✔ X.25 프로토콜
X.25는 OSI 7계층 모델에서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관리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패킷 교환 방식의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다양한 계층을 사용합니다.
✔ X.25의 3계층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실제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신호의 전송과 수신을 담당합니다.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물리적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류 검출 및 복구, 흐름 제어 등을 담당합니다.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라우팅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X.25의 경우, 패킷을 라우팅하고, 경로를 설정하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관리합니다.
✔ 레코드 계층 (Record Layer)
**레코드 계층 (Record Layer)**은 X.25 프로토콜에서 사용되지 않는 계층입니다.
레코드 계층은 X.25와 관련이 없으며, 다른 프로토콜, 예를 들어 **SNA (Systems Network Architecture)**에서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 각 보기 해설
보기 설명 정답 여부
① | 물리 계층: X.25에서 사용하는 계층으로, 실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 ❌ |
② | 네트워크 계층: X.25에서 사용하는 계층으로, 패킷을 라우팅하고 전송 경로를 설정합니다. | ❌ |
③ | 데이터링크 계층: X.25에서 사용하는 계층으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고 오류를 처리합니다. | ❌ |
❹ | 레코드 계층: X.25와 관련이 없는 계층으로, X.25 프로토콜의 3계층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 |
✅ 결론
X.25 프로토콜의 3계층은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입니다.
따라서 레코드 계층은 X.25의 3계층에 해당하지 않으며, 정답은 ❹ 레코드 계층입니다.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4번 (0) | 2025.05.14 |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3번 (0) | 2025.05.14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1번 (0) | 2025.05.14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0번 (0) | 2025.05.14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9번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