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18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00번

엉클지니 2025. 6. 3. 00:05

100. 패킷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패킷길이가 제한된다.

    전송 데이터가 많은 통신환경에 적합하다.

    노드나 회선의 오류 발생 시 다른 경로를 선택할 수 없어 전송이 중단된다.

    저장-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300x250

이 문제는 **패킷교환 방식(Packet Switching)**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입니다.
특히 패킷 교환의 장점과 구조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있느냐를 체크하는 유형이에요.


✅ 1. 문제 요지

다음 중 패킷 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2. 패킷 교환 방식이란?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은 데이터를 **작은 조각(패킷)**으로 나누어 각 패킷을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인터넷의 기본 통신 방식이며, 자율성과 유연성이 핵심 장점이에요.


✅ 3. 보기 분석

번호 보기 내용 맞는지 여부 해설

패킷 길이가 제한된다. ✅ 맞음 네,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나 네트워크 정책상 패킷의 최대 길이는 제한됩니다.
전송 데이터가 많은 통신환경에 적합하다. ✅ 맞음 네, 여러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어 트래픽이 많은 환경에 유리합니다.
노드나 회선의 오류 발생 시 다른 경로를 선택할 수 없어 전송이 중단된다. 틀림! 이것이 정답입니다! 패킷 교환 방식은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을 통해 다른 경로를 자동 선택합니다. 경로가 유연하다는 것이 패킷 교환의 큰 장점입니다.
저장-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 맞음 맞습니다. 각 노드(라우터)는 패킷을 **저장 후 전달(store and forward)**합니다.

✅ 정답

❸ 노드나 회선의 오류 발생 시 다른 경로를 선택할 수 없어 전송이 중단된다.
⛔ 이 설명은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에 가까운 설명입니다.
✅ 패킷 교환은 오히려 동적 경로 선택 기능이 있어, 일부 노드나 회선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경로로 우회 가능합니다.


📚 정리: 회선 교환 vs. 패킷 교환

항목 회선 교환 (Circuit Switching) 패킷 교환 (Packet Switching)

연결 방식 전체 경로 사전 설정 패킷마다 경로 달라질 수 있음
오류 시 전체 통신 중단 가능 다른 경로로 우회 가능
효율성 낮음 (유휴 시간 많음) 높음 (네트워크 자원 공유)
예시 전화망 인터넷, IP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