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캐시기억장치 운영에서 매핑 함수의 의미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① 주기억장치와 I/O장치의 블록 크기를 정하는 방법이다.
② 캐시 기억장치의 적중률과 미스 율을 정하는 방법이다.
③ 캐시 기억장치의 태그 필드에 값을 인코딩하는 방법이다.
❹ 주기억장치의 한 개의 블록을 캐시 라인에 배정하는 규칙이다.
300x250
😊
이번 문제는 **캐시 기억장치(Cache Memory)**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매핑 함수(mapping function)**의 의미를 묻고 있어요.
하나씩 보기 분석을 해보며 가장 정확한 설명을 찾아볼게요.
✅ 캐시 기억장치(Cache Memory)란?
-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한 고속 임시 기억장치
-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해서 접근 속도 향상 🔥
✅ 매핑 함수(mapping function)란?
- 주기억장치의 블록을 캐시 메모리의 특정 위치(라인)에 배치하는 규칙
- 즉, "어디에 저장할지"를 결정하는 방법
📊 보기 분석
보기 번호 보기 내용 정답 여부 해설
① | 주기억장치와 I/O장치의 블록 크기 설정 방법 | ❌ | I/O 관련 설명, 캐시 매핑과 무관 |
② | 캐시의 적중률과 미스율 결정 방법 | ❌ | 매핑 방식이 간접적 영향을 주긴 하지만, 직접 정의 아님 |
③ | 캐시의 태그 필드 인코딩 방법 | ❌ | 태그는 매핑의 결과물, 설명이 본질 아님 |
❹ | 주기억장치의 블록을 캐시 라인에 배정하는 규칙 | ✅ 정답! | 매핑 함수의 정확한 정의 💯 |
🧠 매핑 함수의 종류
매핑 방식 설명
직접 매핑 (Direct Mapping) | 하나의 블록 → 하나의 캐시 라인 |
완전 연결 매핑 (Fully Associative) | 모든 블록 → 모든 캐시 라인 가능 |
세트-연관 매핑 (Set Associative) | 여러 개의 세트에 배정, 유연성 ↑ |
✅ 정답: ❹ 주기억장치의 한 개의 블록을 캐시 라인에 배정하는 규칙이다
이 정의는 캐시 메모리 구조 이론의 핵심이니 꼭 기억해 두세요!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2번 (0) | 2025.06.13 |
---|---|
2017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1번 (0) | 2025.06.13 |
2017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9번 (2) | 2025.06.13 |
2017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8번 (0) | 2025.06.13 |
2017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7번 (0) | 202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