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17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9번

엉클지니 2025. 6. 26. 21:40

69. 모듈(module)의 응집도(cohesion)가 약한 것부터 강한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기능적응집 시간적응집 논리적응집

    시간적응집 기능적응집 논리적응집

    논리적응집 시간적응집 기능적응집

    논리적응집 기능적응집 시간적응집

 

300x250

이 문제는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중요한 개념인 **모듈의 응집도(Cohesion)**에 대한 것입니다.
응집도는 모듈 내부 요소들이 얼마나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도이며, 높을수록 좋은 구조입니다. 😊


✅ 응집도(Cohesion)의 종류와 강도

아래는 정보처리기사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응집도의 종류를 약한 것부터 강한 것 순서로 정리한 표입니다:

응집도 유형 강도 설명

우연적 응집 (Coincidental) ★☆☆☆☆ (가장 약함) 서로 관련 없는 기능들이 한 모듈에 우연히 모여 있음
논리적 응집 (Logical) ★★☆☆☆ 비슷한 종류의 작업을 여러 개 포함하되, 제어문(if 등)으로 구분
시간적 응집 (Temporal) ★★★☆☆ 특정 시간에 함께 실행되는 작업들이 모여 있음 (예: 초기화)
절차적 응집 (Procedural) ★★★★☆ 일정한 절차에 따라 수행되는 작업들이 모여 있음
통신적 응집 (Communicational) ★★★★★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하는 여러 작업들이 모여 있음
순차적 응집 (Sequential) ★★★★★★ 하나의 출력이 다음 작업의 입력이 되는 경우
기능적 응집 (Functional) ★★★★★★★ (가장 강함) 하나의 명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들이 모여 있음

🧠 문제 해설

지문에서 제시된 세 가지 응집도를 비교해 봅시다.

❸ 논리적 응집 → 시간적 응집 → 기능적 응집

  • 논리적 응집: if-else 등으로 처리 분기하는 경우 → 약함
  • 시간적 응집: 초기화, 정리 등 특정 시간대에 수행되는 작업 묶음
  • 기능적 응집: 오직 하나의 목적/기능을 중심으로 설계 → 가장 강함

✅ 약한 것부터 강한 것 순서가 정확하게 맞음


✅ 정답

❸ 논리적응집 → 시간적응집 → 기능적응집


💡 실전 팁

구분 특징 기억 방법

낮은 응집도 중복 많고 유지보수 어려움 "논시간우"로 시작
높은 응집도 변경 영향 적고 재사용성 높음 기능적응집이 최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