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7번

엉클지니 2025. 3. 14. 12:51

17. 객체지향 분석 기법과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동적 모델링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기능 중심으로 시스템을 파악하며 순차적인처리가 중요시되는 하향식(Top-down)방식으로 볼 수 있다.

    데이터와 행위를 하나로 묶어 객체를 정의내리고 추상화시키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코드 재사용에 의한 프로그램 생산성 향상 및 요구에 따른 시스템의 쉬운 변경이 가능하다.

 

문제 해석:

이 문제는 객체지향 분석 기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찾는 문제입니다. 객체지향 분석 기법은 시스템을 객체라는 단위로 나누어 데이터와 행위를 묶어서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이해도와 유지보수성을 높이고, 변경이나 확장을 용이하게 합니다.


각 선택지 해설:

동적 모델링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 해설: 객체지향 분석 기법에서 동적 모델링은 객체 간의 상호작용상태 변화를 다루는 기법입니다. 이는 시스템의 동적인 행동을 모델링하는 데 유용하며, 상태 다이어그램이나 순차 다이어그램 등 다양한 다이어그램을 통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적 모델링 기법이 사용되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 정답 아님: 맞습니다. 동적 모델링 기법은 객체지향 분석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기능 중심으로 시스템을 파악하며 순차적인 처리가 중요시되는 하향식(Top-down) 방식으로 볼 수 있다.

  • 해설: 객체지향 분석기능 중심이 아니라 객체 중심입니다. 객체지향 분석에서는 시스템의 기능보다는 **객체(데이터와 행위의 결합)**를 중심으로 시스템을 분석하고 설계합니다. 하향식(Top-down) 방식은 구조적 분석에서 주로 사용되며, 객체지향 분석에서는 보통 상향식(Bottom-up) 방식이 더 적합합니다.
  • 정답: 틀립니다. 객체지향 분석기능 중심이 아니라 객체 중심이며, 하향식 분석은 구조적 분석에서 사용됩니다.

데이터와 행위를 하나로 묶어 객체를 정의내리고 추상화시키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 해설: 객체지향 분석에서 객체데이터와 **행위(메소드)**를 하나로 묶은 개념입니다. 추상화는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제거하고, 중요한 특성만을 고려하여 객체를 정의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객체지향 분석의 핵심적인 개념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 정답 아님: 맞습니다. 데이터와 행위를 묶어 객체를 정의하는 것이 객체지향 분석의 중요한 개념입니다.

코드 재사용에 의한 프로그램 생산성 향상 및 요구에 따른 시스템의 쉬운 변경이 가능하다.

  • 해설: 객체지향 분석 기법코드 재사용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객체를 모듈화하여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상속이나 다형성을 활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객체지향 분석의 주요 장점 중 하나를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 정답 아님: 맞습니다. 코드 재사용시스템 변경의 용이성객체지향 분석 기법의 중요한 장점입니다.

결론:

  • 정답은 ❷입니다.
    객체지향 분석기능 중심이 아니라 객체 중심이고, 하향식 방식보다는 상향식 방식으로 시스템을 분석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