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발표한 언어로 인터프리터 방식이자 객체지향적이며, 배우기 쉽고 이식성이 좋은 것이 특징인 스크립트 언어는?
① C++ ② JAVA
③ C# ❹ Python
🔍 문제 분석
문제에서 제시된 특징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발표한 언어"
- Python(파이썬)은 1989년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개발을 시작하였고, 1991년에 처음 발표되었습니다.
- "인터프리터 방식"
- 파이썬은 인터프리터 방식(한 줄씩 실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하여, 별도의 컴파일 과정 없이 실행할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인터프리터 언어로는 Python, JavaScript, Ruby 등이 있습니다.
- "객체지향적(Object-Oriented)"
- 파이썬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을 지원합니다.
- 또한, 절차적 프로그래밍과 함수형 프로그래밍도 가능하여 다양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배우기 쉽고 이식성이 좋다"
- 파이썬의 문법은 다른 언어보다 간결하고 가독성이 뛰어나 초보자도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 또한, Windows, macOS, Linux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하기 때문에 이식성이 뛰어납니다.
✅ 오답 분석
선택지 특징 비고
① C++ | 컴파일 방식, 객체지향(OOP), 성능 최적화 | 문법이 비교적 어렵고 복잡함 |
② JAVA | 컴파일 + 인터프리터(JVM 사용), 객체지향 | 플랫폼 독립적이지만 문법이 복잡함 |
③ C# | 컴파일 방식, 객체지향 | 마이크로소프트 환경에서 주로 사용됨 |
④ Python | 인터프리터 방식, 객체지향, 배우기 쉬움, 이식성 좋음 | 정답 ✅ |
🎯 결론
Python은 인터프리터 방식이며, 객체지향적이고, 배우기 쉬우며, 이식성이 뛰어난 프로그래밍 언어이므로 정답은 ④ Python입니다. 🎉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4번 (0) | 2025.03.19 |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3번 (1) | 2025.03.19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1번 (0) | 2025.03.19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0번 (0) | 2025.03.17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9번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