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9번

엉클지니 2025. 3. 19. 13:34

89. 비대칭 암호화 방식으로 소수를 활용한암호화 알고리즘은?

DES        AES

SMT         RSA

 

문제 분석:

이 문제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에서 소수를 활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관한 질문입니다. 비대칭 암호화는 공개 키와 비공개 키를 이용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방식으로, 보통 소수를 사용한 알고리즘이 많습니다.

각 보기 분석:

  1. ① DES (Data Encryption Standard)
    • 틀린 설명입니다.
    • DES대칭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합니다. DES는 소수를 사용하는 비대칭 암호화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알고리즘은 질문에서 요구하는 소수를 활용한 비대칭 암호화 알고리즘이 아닙니다.
  2. ②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 틀린 설명입니다.
    • AES대칭 암호화 방식입니다. AES는 공개 키와 비공개 키를 사용하는 비대칭 방식이 아니라, 동일한 키로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소수를 활용한 비대칭 암호화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3. ③ SMT (Secure Multiparty Computation)
    • 틀린 설명입니다.
    • SMT보안 다자간 계산을 의미하는 용어로, 암호화 알고리즘이 아닙니다. 따라서 소수를 활용한 비대칭 암호화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4. ❹ RSA (Rivest-Shamir-Adleman)
    • 맞는 설명입니다.
    • RSA비대칭 암호화 방식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알고리즘입니다. RSA에서는 소수를 활용하여 공개 키와 비공개 키를 생성합니다. 특히, 두 개의 큰 소수를 곱하여 공개 키와 비공개 키를 생성하고, 이 키들을 이용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소수를 활용한 비대칭 암호화 알고리즘에 해당합니다.

해설:

  • RSA소수를 활용한 비대칭 암호화 알고리즘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RSA에서 사용되는 핵심은 두 개의 큰 소수를 곱한 수를 기반으로 한 공개 키와 비공개 키입니다. 이 구조는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을 안전하게 만들며, 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할 수 있습니다.
  • DESAES는 대칭 암호화 방식이며, SMT는 암호화 알고리즘이 아니라 보안 계산 기술에 관련된 용어입니다.

결론:

정답은 ❹ RSA입니다. RSA소수를 활용한 비대칭 암호화 알고리즘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