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의 주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S/W 라이프 사이클 전 단계의 연결 ② 그래픽 지원
③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모형 지원 ❹ 언어 번역
문제 분석:
이 문제는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의 주요 기능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CASE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자동화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도구나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즉,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각 단계들을 지원하거나 자동화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이제 각 선택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선택지 분석:
- S/W 라이프 사이클 전 단계의 연결
CASE 도구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단계를 지원하며, 각 단계 간의 연결을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 과정이 원활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맞는 설명입니다. ✅ - 그래픽 지원
CASE 도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UML 다이어그램 같은 시각적 도구를 제공하여 시스템 분석 및 설계를 시각적으로 지원합니다.
→ 맞는 설명입니다. ✅ -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모형 지원
CASE 도구는 다양한 개발 방법론과 모형(예: 폭포수 모형, 애자일 모형 등)을 지원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에 맞는 도구를 제공하여 개발자들이 각자의 방법론에 맞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맞는 설명입니다. ✅ - 언어 번역
CASE 도구는 주로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는 도구로, 언어 번역(즉, 프로그래밍 언어 간 변환)은 주된 기능이 아닙니다. 언어 번역은 일반적으로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 같은 도구의 기능입니다.
→ 틀린 설명입니다. ❌
정답은: ❹ 언어 번역입니다.
해설:
CASE는 컴퓨터 지원 소프트웨어 공학 도구로, 주로 소프트웨어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프로젝트 관리 및 품질 관리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 과정에 걸친 지원, 그래픽적 지원, 다양한 개발 모형 지원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언어 번역은 CASE의 주요 기능이 아니며, 이는 다른 도구의 역할입니다.
예시:
- 소프트웨어 라이프 사이클 전 단계 연결:
예를 들어, 요구사항 분석에서부터 설계,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까지 모든 단계를 CASE 도구가 지원하며 각 단계 간의 연결을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프로젝트 관리가 쉬워지고, 중복된 작업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그래픽 지원:
CASE 도구는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다이어그램을 작성하는 데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시스템을 시각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클래스 다이어그램, 시퀀스 다이어그램 등을 그릴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모형 지원:
CASE 도구는 여러 가지 개발 방법론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폭포수 모델에서는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지만, 애자일 모델에서는 반복적인 개발을 지원합니다. CASE 도구는 이러한 다양한 모델에 맞춰 유연하게 지원합니다.
결론:
- CASE 도구의 주요 기능은 소프트웨어 라이프 사이클 전 단계 연결, 그래픽 지원, 다양한 개발 모형 지원입니다.
- 언어 번역은 CASE의 주요 기능이 아니므로 틀린 선택지입니다.
표로 정리한 선택지 비교:
선택지 설명 맞는지/틀린지
① S/W 라이프 사이클 전 단계의 연결 | 소프트웨어 개발 전 과정의 지원과 단계 간 연결 | ✅ |
② 그래픽 지원 | UML 다이어그램 등을 통해 시각적 설계를 지원 | ✅ |
③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모형 지원 | 여러 개발 방법론에 맞는 도구 제공 | ✅ |
❹ 언어 번역 |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언어 번역은 CASE 도구의 주요 기능이 아님 | ❌ |
이해가 되셨길 바랍니다! 😊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번 (0) | 2025.03.31 |
---|---|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번 (0) | 2025.03.31 |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번 (0) | 2025.03.31 |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번 (0) | 2025.03.31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00번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