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9 24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4번

74. 200.1.1.0/24 네트워크를 FLSM 방식을 이용하여 10개의 Subnet으로 나누고 ip subnet-zero를 적용했다. 이때 서브네         팅된 네트워크 중 10번째 네트워크의 broadcast IP주소는?    ❶ 200.1.1.159             ② 201.1.5.175    ③ 202.1.11.254           ④ 203.1.255.245   이 문제는 서브네팅과 FLSM (Fixed Length Subnet Mask) 방식을 이용하여 서브넷을 나누고,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별 풀이를 이모티콘과 함께 쉽게 설명드릴게요. 😊문제 분석주어진 IP: 200.1.1.0/24서브넷 개수: 10개ip subnet-zero가 적..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3번

73. 메모리 관리 기법 중 Worst fit 방법을 사용할 경우 10K 크기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서는 어느 부분에 할당되는가?① NO.2      ② NO.3③ NO.4       ❹ NO.5     문제: Worst Fit 기법을 사용할 경우, 10K 크기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의 어느 부분에 할당되는가?주어진 메모리 영역과 크기:메모리 영역 크기 상태NO.018K사용 가능NO.0212K사용 가능NO.0310K사용 중NO.0420K사용 중NO.0516K사용 가능Worst Fit 기법 설명:Worst Fit 기법은 가장 큰 빈 공간에 프로그램을 할당하는 방법이에요. 즉, 여유 공간이 가장 큰 곳을 찾아서 거기에 프로그램을 넣는 것이죠! 😎목표: 여유 공간이 가장 큰 곳을 찾아 프로그램을 ..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2번

72. 다음 중 가장 결합도가 강한 것은?    ① data coupling        ② stamp coupling    ❸ common coupling  ④ control coupling   이 문제는 **결합도(coupling)**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입니다. 결합도는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상호 의존성을 나타내며, 결합도가 강할수록 모듈 간 의존성이 커지고, 결합도가 약할수록 모듈 간 독립성이 커집니다. 결합도가 낮은 설계가 좋은 설계로 간주됩니다.각 결합도 유형 설명① Data Coupling (데이터 결합)설명: 모듈 간에 데이터만을 전달하는 경우입니다. 즉, 매개변수로 데이터를 넘기거나 받는 것으로, 이때 매개변수는 단순한 데이터 객체입니다. 데이터 결합은 결합도가 가장 낮은 형태로, 모..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1번

71. OSI-7Layer에서 링크의 설정과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하며, 노드간의 오류제어와 흐름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❶ 데이터링크 계층    ② 물리 계층    ③ 세션 계층              ④ 응용 계층  이 문제는 OSI 7 계층 모델에 대한 질문입니다. OSI 7 계층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사용되는 모델로, 각 계층은 특정 기능을 담당합니다. 각 계층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계층 설명데이터링크 계층 (Data Link Layer)설명: 데이터링크 계층은 링크의 설정,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하며, 노드 간의 오류 제어(예: 프레임의 오류 검출 및 재전송)와 흐름 제어(전송 속도를 제어하여 수신자가 처리할 수 있는 속도에 맞춰 ..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0번

70. 다음이 설명하는 응집도의 유형은?① 기능적 응집도     ② 우연적 응집도③ 논리적 응집도      ❹ 절차적 응집도   이 문제는 **응집도(cohesion)**에 대한 질문입니다. 응집도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성 요소들이 얼마나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모듈 내의 기능들이 얼마나 잘 결합되어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응집도는 일반적으로 높을수록 좋은 설계로 간주됩니다.문제에서 설명하는 모듈이 다수의 관련 기능을 가질 때, 모듈 안의 구성 요소들이 그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응집도의 유형을 묻고 있습니다.각 응집도 유형 설명① 기능적 응집도 (Functional Cohesion)설명: 모듈 내의 모든 구성 요소가 하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결합된 경우..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9번

69. TC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신뢰성이 있는 연결 지향형 전달 서비스이다.    ❷ 기본 헤더 크기는 100byte이고 160byte까지 확장 가능하다.    ③ 스트림 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④ 순서제어, 오류제어,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이 문제는 TC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을 묻고 있습니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신뢰성 있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보장합니다. 각 설명을 하나씩 분석해 보겠습니다. 😊각 설명 분석① 신뢰성이 있는 연결 지향형 전달 서비스이다.해설: 맞습니다. TCP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송수신 간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신뢰성..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8번

68. 배치 프로그램의 필수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자동화는 심각한 오류 상황 외에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 동작해야 한다.    ② 안정성은 어떤 문제가 생겼는지, 언제 발생했는지 등을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③ 대용량 데이터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❹ 무결성은 주어진 시간 내에 처리를 완료할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동작하고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방해하지 말           아야 한다.   이 문제는 배치 프로그램의 필수 요소에 대한 설명을 묻고 있습니다. 배치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을 먼저 살펴보고, 각 설명을 하나씩 분석해 볼게요. 😊배치 프로그램의 정의**배치 프로그램(batch program)**은 사용자가 직접 개입하지 않고 미리 정의된..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7번

67.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다중 사용자와 다중 응용프로그램 환경하에서 자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자원 분배를 위한 스케줄링을 담당한다.    ② CPU, 메모리 공간, 기억 장치, 입출력 장치 등의 자원을 관리한다.    ❸ 운영체제의 종류로는 매크로 프로세서, 어셈블러, 컴파일러 등이 있다.    ④ 입출력 장치와 사용자 프로그램을 제어한다.   이 문제는 운영체제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입니다. 하나씩 분석해 볼게요! 🙂문제 분석:문제: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① 다중 사용자와 다중 응용프로그램 환경하에서 자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자원 분배를 위한 스케줄링을 담당한다.해설: 운영체제는 여러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자원..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6번

66. HRN 방식으로 스케줄링 할 경우, 입력된 작업이 다음과 같을 때 처리되는 작업 순서로 옳은 것은?① A→B→C→D     ② A→C→B→D ❸ D→B→C→A     ④ D→A→B→C   😊이 문제는 HRN(Highest Response Ratio Next)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는 문제입니다.정보처리기사에서 자주 나오는 개념이니, 꼭 이해하고 넘어가야 해요!아래에 문제 분석 → 해설 → 예시 계산 → 결론 순으로 천천히 알려드릴게요. 🧠✨🌟 1. 문제 분석작업 대기시간 (W) 실행시간 (S)A520B4020C1545D202HRN 스케줄링은 "응답률(Response Ratio)"을 계산해서 가장 높은 작업부터 처리해요!응답률 공식:응답률(R)=대기시간(W)+서비스시간(S)서비스시간(S)=1+..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5번

65. 효과적인 모듈 설계를 위한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모듈간의 결합도를 약하게 하면 모듈 독립성이 향상된다.    ② 복잡도와 중복성을 줄이고 일관성을 유지시킨다.    ❸ 모듈의 기능은 예측이 가능해야 하며 지나치게 제한적 이여야 한다.    ④ 유지보수가 용이해야 한다.   이 문제는 효과적인 모듈 설계에 관한 유의사항을 묻고 있습니다. 모듈 설계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잘 설계된 모듈은 시스템의 유지보수와 확장성, 독립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각 선택지를 분석하여 가장 거리가 먼 유의사항을 찾는 문제입니다.모듈 설계의 주요 원칙모듈 간 결합도를 약하게 하고 응집도를 강하게 만든다.모듈 간 결합도(Coupling)는 서로 의존하는 정도를 의미하고, 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