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 TCP 흐름제어기법 중 프레임이 손실되었을 때, 손실된 프레임 1개를 전송하고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으로 한 번에 프레임 1개만 전송할 수 있는 기법은?
① Slow Start ② Sliding Window
❸ Stop and Wait ④ Congestion Avoidance
정보처리기사를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 TCP 흐름 제어 기법 중 **"손실된 프레임 1개를 전송하고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에 대해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
문제 분석
주어진 문제는 TCP 흐름 제어 기법에 대한 문제입니다. 질문은 "손실된 프레임 1개를 전송하고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흐름 제어(Flow Control)란?
흐름 제어는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가 과다하게 전송되어 수신자가 처리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기법입니다. TCP에서는 여러 가지 흐름 제어 기법이 사용됩니다.
문제에서 언급된 **"손실된 프레임 1개를 전송하고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은 특정 흐름 제어 기법을 의미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기법을 이해해야 합니다.
기법별 해설
1. Slow Start
- 목적: 네트워크가 혼잡할 때 송신 속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혼잡을 방지.
- 작동 방식: 처음에는 작은 윈도우 크기로 시작해서 점차적으로 증가시킴.
- 용도: 주로 혼잡 제어에 사용됩니다.
- 결론: **"한 번에 프레임 하나씩 전송하고,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과는 다릅니다.
2. Sliding Window
- 목적: 여러 프레임을 동시에 전송하고, 수신자로부터 ACK(응답)를 받으면 그만큼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기법.
- 작동 방식: 송신자는 여러 개의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고, 수신자는 그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응답을 보냅니다.
- 용도: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지만, 손실된 프레임에 대해 모든 프레임을 다시 보내는 방식은 아님.
- 결론: 이 기법은 **"한 번에 하나씩 전송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질문과는 다릅니다.
3. Stop and Wait
- 목적: 한 번에 하나의 프레임만 전송하고, 수신자로부터 **응답(ACK)**을 기다리는 기법.
- 작동 방식: 송신자는 한 번에 하나의 프레임만 전송하고, 수신자로부터 해당 프레임에 대한 응답을 받기 전까지 다른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습니다. 만약 프레임이 손실되면, 해당 프레임만 재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기다립니다.
- 용도: 한 번에 하나의 프레임만 전송하고,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이므로 문제에서 묻는 방식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 결론: **"손실된 프레임 1개를 전송하고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이 맞는 기법입니다.
4. Congestion Avoidance
- 목적: 네트워크 혼잡을 피하기 위한 기법으로, 송신 속도를 조절합니다.
- 작동 방식: 혼잡 상태를 피하기 위해 전송 윈도우를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 용도: 혼잡 제어에 주로 사용되며, 질문에서 묻는 **"손실된 프레임을 재전송하고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표로 요약
기법 설명 해당 여부
Slow Start | 송신 속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네트워크 혼잡을 피하는 기법. | 해당 없음 |
Sliding Window | 여러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고 응답을 받는 기법. | 해당 없음 |
Stop and Wait | 한 번에 하나의 프레임만 전송하고 응답을 기다리는 기법. | 정답 (해당) |
Congestion Avoidance | 네트워크 혼잡을 피하기 위해 송신 속도를 조절하는 기법. | 해당 없음 |
결론
**"손실된 프레임 1개를 전송하고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은 Stop and Wait 기법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Stop and Wait입니다! 🎉
정리
- Stop and Wait 기법은 한 번에 하나의 프레임만 전송하고,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 만약 전송 중인 프레임이 손실되면, 해당 프레임만 재전송하고 응답을 기다립니다.
- Sliding Window나 Slow Start와는 달리, 한 번에 하나의 프레임만 전송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제 TCP 흐름 제어 기법 중에서 Stop and Wait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왜 이 기법이 정답인지 이해할 수 있겠죠? 😊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4번 (0) | 2025.04.07 |
---|---|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3번 (0) | 2025.04.07 |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1번 (0) | 2025.04.07 |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0번 (0) | 2025.04.03 |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9번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