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4번

엉클지니 2025. 4. 7. 15:46

74. 응집도의 종류 중 서로 간에 어떠한 의미 있는 연관관계도 지니지 않은 기능 요소로 구성되는 경우이며, 서로 다른 상위 모듈에 의해 호출되어 처리상의 연관성이 없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응집도는?

    Functional Cohesion    Sequential Cohesion

    Logical Cohesion          Coincidental Cohesion

 

 

 

 

이 문제는 **응집도(Cohesion)**에 대한 문제입니다. 응집도는 하나의 모듈이 얼마나 밀접하게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응집도가 높을수록 모듈 내의 기능들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문제 분석

질문은 **"서로 간에 의미 있는 연관관계가 없고, 서로 다른 상위 모듈에 의해 호출되어 처리상의 연관성이 없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응집도"**를 묻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응집도의 종류는 바로 Coincidental Cohesion입니다.

각 응집도 종류 설명

  1. Functional Cohesion (기능적 응집도)
    • 설명: 모듈 내의 모든 기능이 하나의 잘 정의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입니다. 즉, 모듈 내의 모든 요소가 동일한 목적을 위해 협력하여 동작하는 경우입니다.
    • 예시: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모듈이 있고, 그 모듈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저장,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입니다.
    • 결론: 이건 높은 응집도입니다.
  2. Sequential Cohesion (순차적 응집도)
    • 설명: 모듈 내의 각 기능이 순차적으로 처리되어 이전 작업의 결과가 다음 작업에 입력되는 경우입니다. 즉, 기능들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 예시: 데이터를 읽고, 그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일련의 순차적 과정이 포함된 모듈입니다.
    • 결론: 기능들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중간 수준의 응집도입니다.
  3. Logical Cohesion (논리적 응집도)
    • 설명: 모듈 내의 기능들이 논리적으로 관련이 있는 작업을 수행하지만, 서로 다른 유형의 작업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모듈이 다양한 종류의 입력을 받아 처리하는 경우입니다.
    • 예시: 다양한 종류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듈이 있고, 그 중 각 데이터를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는 경우입니다.
    • 결론: 기능들이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상호작용이 제한적인 경우입니다.
  4. Coincidental Cohesion (우연적 응집도)
    • 설명: 서로 관련이 없는 기능들이 모여 있는 경우입니다. 즉, 모듈 내의 기능들이 전혀 관련이 없고 단순히 우연히 하나의 모듈에 묶여 있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상위 모듈에서 호출되어 처리하는 기능들이 포함됩니다.
    • 예시: 여러 가지 서로 다른 기능들이 하나의 모듈에 포함되어 있지만, 그 기능들 간에 의미 있는 연관관계는 없고, 단순히 우연히 모여 있는 경우입니다.
    • 결론: 가장 낮은 응집도로, 모듈 내 기능들 간에 아무런 연관이 없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렵고, 변경에 취약합니다.

정리된 표

응집도 종류 설명 예시 결합도

Functional Cohesion 모듈 내의 모든 기능이 하나의 잘 정의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수정, 삭제 등 같은 작업을 처리하는 경우. 높은 응집도
Sequential Cohesion 모듈 내의 각 기능이 순차적으로 처리되어 서로 연결된 경우. 데이터를 읽고 처리하고 출력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경우. 중간 정도 응집도
Logical Cohesion 기능들이 논리적으로 관련 있지만, 여러 종류의 작업이 혼합된 경우. 다양한 종류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듈. 낮은 응집도
Coincidental Cohesion 서로 관련이 없는 기능들이 우연히 하나의 모듈에 묶여 있는 경우. 서로 다른 기능들이 우연히 하나의 모듈에 모여 있는 경우. 매우 낮은 응집도

결론

**우연적 응집도(Coincidental Cohesion)**는 모듈 내 기능들이 서로 전혀 관련이 없고, 단순히 우연히 하나의 모듈에 모여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응집도는 가장 낮은 응집도에 해당하며, 유지보수가 어렵고, 변경에 취약합니다.

정답은 ❹ Coincidental Cohesion입니다. 😊


응집도 요약

  • 높은 응집도는 모듈 내의 기능들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시스템의 유지보수성을 높입니다.
  • 낮은 응집도는 모듈 내의 기능들이 별로 관련이 없거나, 우연히 모여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이는 시스템의 유지보수성을 떨어뜨립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