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0년 1회,2회(통합)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1번

엉클지니 2025. 4. 13. 15:15

31. 다음 트리의 차수(degree)와 단말 노드(terminal node)의 수는?

차수: 4, 단말 노드: 4      차수: 2, 단말 노드: 4

차수: 4, 단말 노드: 8    차수: 2, 단말 노드: 8

 

 

😊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 위의 트리(Tree) 구조 문제를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드릴게요!
표와 이모티콘도 함께 넣어서 눈에 쏙쏙 들어오게 설명할게요!


✅ 문제 분석

🖼️ 그림 설명:

  • 트리의 루트(최상위 노드)는 A
  • A 아래에 B와 C
  • B 아래에 D
  • C 아래에 E와 F
  • E 아래에 G와 H
    즉, 트리 형태로 노드들이 연결되어 있어요.

✅ 용어 정리

용어 뜻

차수(Degree) 노드가 가지는 자식의 수 (각 노드마다 다름)
트리의 차수 트리에서 가장 많은 자식 노드를 가진 노드의 자식 수 (전체 트리 기준)
단말 노드 자식이 없는 노드 (= 리프 노드)

✅ 트리에서 차수와 단말 노드 수 구하기

1️⃣ 각 노드의 차수 정리 🧮

노드 자식 노드 수 (차수)

A 2 (B, C)
B 1 (D)
C 2 (E, F)
D 0
E 2 (G, H)
F 0
G 0
H 0

👉 가장 큰 차수는 2 (C, E가 각각 자식 2개) → 트리의 차수는 2


2️⃣ 단말 노드(자식이 없는 노드) 찾기 🍃

  • D, F, G, H는 자식이 없어요
    👉 그래서 단말 노드 수 = 4개

✅ 보기 분석 🕵️‍♂️

보기 번호 차수 단말 노드 수 맞는지?

4 4 ❌ (차수가 틀림)
2 4 ✅ 정답! 🎯
4 8 ❌ (둘 다 틀림)
2 8 ❌ (단말 노드 수 틀림)

✅ 결론 ✨

✔️ 정답: ② 차수: 2, 단말 노드: 4

💡 한 줄 요약

트리의 차수는 가장 많은 자식 수! / 단말 노드는 자식이 없는 노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