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0년 1회,2회(통합)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7번

엉클지니 2025. 4. 13. 17:35

47. 이행적 함수 종속 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AB이고 BC 일 때, AC를 만족하는 관계

    AB이고 BC 일 때, CA를 만족하는 관계

    AB이고 BC 일 때, BA를 만족하는 관계

    AB이고 BC 일 때, CB를 만족하는 관계

 

 

 

 😊
이번 문제는 정규화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인 **이행적 함수 종속(Transitive Dependency)**에 대한 문제예요. 개념부터 확실히 잡고, 보기들을 하나씩 분석해볼게요!


✅ 이행적 함수 종속(Transitive Dependency) 이란?

  • 기본 개념:
  • A → B, B → C 이면, A → C이행적으로 종속되었다고 말합니다.
  • 쉽게 말하면:
    • A를 알면 B를 알 수 있고,
    • B를 알면 C를 알 수 있으므로,
    • 결국 A를 알면 C도 알 수 있다는 것!
  • 이 관계가 **정규화 과정 중 3NF(제3정규형)**에서 제거해야 하는 이행적 종속성이에요.

🔍 보기 분석

보기 내용 분석 결과

❶ A→B이고 B→C 일 때, A→C를 만족하는 관계 ✅ 이게 바로 이행적 함수 종속! 정답  
② A→B이고 B→C 일 때, C→A ❌ 역방향 → 전혀 성립 안 됨 오답  
③ A→B이고 B→C 일 때, B→A ❌ 함수 종속의 반대는 보장되지 않음 오답  
④ A→B이고 B→C 일 때, C→B ❌ 역시 반대 방향, 이행적 종속 아님 오답  

✅ 정답

❶ A→B이고 B→C 일 때, A→C를 만족하는 관계


💡 보충 예시

학생ID → 학과코드  
학과코드 → 학과명

⇒ 학생ID → 학과명 (이행적 종속)

그래서 **제3정규형(3NF)**에선 이런 이행적 종속성을 제거하여 더 나은 데이터 구조를 만듭니다.


더 자세한 정규화 설명이나 단계별 예시 원하시면 바로 도와드릴게요! 😄
다음 문제도 함께 볼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