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 화이트박스 검사로 찾기 힘든 오류는?
① 논리흐름도 ❷ 자료구조
③ 루프구조 ④ 순환복잡도
정답 해설:
정답은 ❷ 자료구조입니다. 화이트박스 검사(White-box testing)는 코드 내부의 구조와 흐름을 테스트하는 기법으로, 주로 제어 흐름, 조건문, 루프, 함수 호출, 논리 흐름 등을 점검합니다. 하지만 자료구조와 관련된 오류를 찾는 데는 화이트박스 검사가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화이트박스 검사란?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코드의 내부 구조를 검사하는 테스트 기법으로, 주로 다음과 같은 요소를 테스트합니다:
- 제어 흐름: 코드 내 조건문, 루프 등의 실행 흐름
- 구조적 오류: 코드가 의도한 대로 실행되는지, 예외가 발생하지 않는지
- 논리 오류: 코드 내의 로직이나 조건문이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코드의 동작과 흐름을 확인하는 데 강력하지만, 자료구조와 관련된 오류를 발견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옵션 분석:
옵션 설명 해당 여부
① 논리흐름도 | 논리 흐름도는 화이트박스 테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요소입니다.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코드의 논리적 흐름을 추적하므로, 논리 흐름과 관련된 오류를 찾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 |
❷ 자료구조 | 자료구조는 데이터가 프로그램 내에서 어떻게 저장되고 처리되는지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구조적 오류나 동작을 추적할 수 있지만, 자료구조의 설계나 데이터 저장 방식의 오류를 직접적으로 찾는 데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열, 연결 리스트, 트리와 같은 자료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는 동적한 처리가 필요할 수 있으며, 화이트박스 테스트만으로는 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 ❌ |
③ 루프구조 | 루프와 같은 반복문의 실행 흐름을 추적하고, 루프가 의도한 대로 동작하는지, 무한 루프나 조건문에서 벗어나지 않는 오류를 찾는 것은 화이트박스 테스트에서 매우 잘 처리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 ✅ |
④ 순환복잡도 | 순환복잡도는 코드의 복잡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코드가 얼마나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코드의 흐름을 따라가며 순환복잡도를 측정하고, 이를 개선하는 데 유용합니다. 따라서 순환복잡도와 관련된 오류는 화이트박스 테스트에서 잘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왜 ❷번이 정답인가?
- 자료구조 오류는 정적 분석만으로 완전하게 찾아내기 어렵습니다.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주로 코드의 흐름과 구조적 오류를 검사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지만, 데이터의 저장과 처리 방식, 자료구조의 효율성이나 구성 요소의 오류를 직접적으로 검사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자료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는 연결 리스트에서 노드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거나, 스택에서 잘못된 순서로 데이터가 제거되는 문제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오류들은 화이트박스 테스트의 흐름 기반 분석만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반면, 루프구조나 순환복잡도와 같은 제어 흐름 관련 오류는 화이트박스 테스트에서 매우 잘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논리흐름도와 같은 로직적 오류도 화이트박스 테스트에서 잘 검출할 수 있습니다.
정리: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코드의 흐름을 분석하여 제어 흐름이나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는 데 유용하지만, 자료구조와 관련된 오류를 찾는 데는 동적 분석이 필요하거나 다른 기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료구조 오류는 화이트박스 검사로 찾기 어려운 오류에 해당하며, **정답은 ❷ "자료구조"**입니다.
결론:
**정답은 ❷ "자료구조"**입니다. 화이트박스 검사는 자료구조와 관련된 오류를 찾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8번 (0) | 2025.04.23 |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7번 (0) | 2025.04.23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5번 (0) | 2025.04.21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4번 (0) | 2025.04.21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3번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