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PE(processing element)라는 연산기를 사용하여 동기적 병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① Pipeline processor ❷ Vector processor
③ Multi processor ④ VLSI processor
이 문제는 컴퓨터 구조(Computer Architecture) 영역에서 출제되는 문제입니다. 핵심 개념은 동기적 병렬 처리와 **PE (Processing Element)**의 사용입니다. 아래에서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제를 자세히 분석하고 표를 통해 정리해드릴게요 😊
🔍 문제 분석
📌 지문 핵심 요약
- PE(Processing Element): 연산을 수행하는 기본 단위(작은 CPU처럼 생각 가능)
- 동기적 병렬 처리: 여러 연산을 동시에, **같은 클럭(동기)**으로 수행함
✅ 보기 분석
번호 보기 설명 적합 여부
① Pipeline processor | 파이프라인 방식은 연산 단계를 나누어 순차적으로 처리 (동기 병렬 아님) | ❌ | |
❷ Vector processor | 동일 명령어를 여러 데이터에 동시에 처리, 다수의 PE 사용 가능 | ✅ 정답 | |
③ Multi processor | CPU 여러 개로 병렬 처리하나, 주로 비동기적 구조 | ❌ | |
④ VLSI processor | 집적회로 설계 기술(하드웨어 개념), 병렬 처리 개념 아님 | ❌ |
✅ 정답: ❷ Vector processor
💡 해설
✔ Vector Processor란?
- 벡터: 하나의 명령어로 다수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구조 (SIMD)
- PE (Processing Element) 여러 개를 사용해 병렬 처리 수행
- 동기적 처리: 동일한 명령을 동시에, 같은 클럭으로 수행함
✔ 왜 정답은 Vector Processor인가?
요소 Vector Processor 설명
PE 사용 | ✅ | 여러 PE를 사용해 벡터 연산 병렬 수행 |
병렬 처리 | ✅ | 여러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함 |
동기적 | ✅ | 클럭을 맞춰 동일 명령어 실행 |
정보처리기사 출제 포인트 | ✅ | SIMD 구조, 벡터 처리, PE 개념 모두 포함 |
📝 요약 표: 병렬 처리 방식 비교
방식 설명 병렬성 동기성 예시
Pipeline Processor | 처리 단계를 나누어 연속 처리 | ❌ (순차 처리) | 부분적 | 명령어 파이프라인 |
Vector Processor | 하나의 명령으로 여러 데이터 처리 | ✅ | ✅ | 과학 계산, GPU 일부 |
Multi Processor | CPU 여러 개로 각각 병렬 작업 | ✅ | ❌ (독립적 작동) | 서버, 병렬 컴퓨터 |
VLSI Processor | 집적회로 설계 기술 | ❌ (하드웨어 기술) | ❌ | 칩 설계 기술 |
🧠 암기 팁
벡터(Vector) = 다수 데이터를 동시 처리 → 동기적 → PE 사용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3번 (0) | 2025.05.07 |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2번 (0) | 2025.05.07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0번 (2) | 2025.05.07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9번 (0) | 2025.05.07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8번 (0)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