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명령어가 오퍼레이션 코드(OP code) 6비트, 어드레스 필드 16비트로 되어 있다. 이 명령어를 쓰는 컴퓨터의 최대 메모리 용량은?
① 16K word ② 32K word
❸ 64K word ④ 1M word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이진수와 메모리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이 문제는 명령어 형식과 주소 지정 가능 메모리의 최대 크기에 대한 개념을 물어보는 대표적인 문제입니다.
아래에 표와 함께 문제 분석, 해설, 핵심 개념 정리를 제공하겠습니다.
🔍 문제 분석
명령어 형식:
- OP code (6비트)
- 주소 필드(Address field) (16비트)
🧠 핵심 개념 정리
항목 설명
OP code | 연산의 종류를 나타냄 (6비트 = 2⁶ = 64개의 명령어 가능) |
주소 필드 | 메모리 주소를 지정함. 몇 개의 주소를 표현할 수 있는지가 중요 |
주소 비트 수 | 주소 비트가 N비트이면, 최대 2ⁿ개의 메모리 주소 지정 가능 |
word 단위 | 문제에서 말하는 ‘word’는 메모리 1칸, 즉 주소 1개를 의미 |
📐 계산 과정
주소 필드가 16비트이면, 표현 가능한 주소의 개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216=65,536 개의 주소=64K word2^{16} = 65,536 \text{ 개의 주소} = 64K \text{ word}
K는 1024를 의미하므로:
\frac{65,536}{1024} = 64K
]
✅ 정답
③ 64K word
📌 정리 요약
항목 값
주소 비트 수 | 16비트 |
표현 가능한 주소 개수 | 2¹⁶ = 65,536 |
최대 메모리 용량 | 64K word |
📘 학생용 쉬운 해설
명령어에서 주소를 지정할 수 있는 부분이 16비트라면,
이 16비트로 최대 몇 개의 주소(메모리 칸)를 지정할 수 있을까요?2의 16승은 65,536이니까, 총 65,536개의 메모리 칸을 지정할 수 있어요.
이건 우리가 보통 64K word라고 부릅니다.그래서 이 컴퓨터의 최대 메모리 용량은 64K word입니다!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5번 (0) | 2025.05.07 |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4번 (0) | 2025.05.07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2번 (0) | 2025.05.07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1번 (0) | 2025.05.07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0번 (2)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