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가상기억장치에서 주소 공간이 1024K, 기억공간은 32K라고 가정할 때 주기억장치의 주소 레지스터는 몇 비트로 구성되는가?
① 12 ② 13
③ 14 ❹ 15
정보처리기사에서 자주 출제되는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 관련 문제로, 메모리 주소와 관련된 개념을 묻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도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 해설과 표를 포함해 설명드릴게요.
✅ 문제 요약
조건:
- 주소 공간 = 1024K
- 실제 주기억장치(물리 메모리) = 32K
- 물음: **주기억장치의 주소 레지스터(MAR)**는 몇 비트로 구성되는가?
❗ 중요 포인트: 주소 레지스터(MAR)는 **실제 주기억장치(Physical Memory)**의 주소를 지정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를 의미함!
✅ 개념 정리
용어 의미
주소 공간 | CPU가 접근 가능한 전체 메모리 공간 (논리 주소 공간, 가상주소) |
기억공간 (주기억장치) | 실제 설치된 물리 메모리 용량 |
주소 레지스터 (MAR) | 주기억장치 내 주소를 지정하는 데 필요한 비트 수 |
✅ 해설: 주소 비트 수 계산 방법
주소 지정에 필요한 비트 수는 다음 공식을 사용합니다:
필요한 비트 수 = log₂(메모리 크기)
주어진 기억공간: 32K
- 32K = 32 × 1024 = 32,768
- log₂(32,768) = 15비트
따라서 주기억장치의 각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15비트 주소가 필요합니다.
✅ 표로 정리
메모리 크기(KB) 주소 범위 (Byte 기준) 필요한 주소 비트 수
1K = 2¹⁰ | 0 ~ 1023 | 10비트 |
4K = 2¹² | 0 ~ 4095 | 12비트 |
32K = 2¹⁵ | 0 ~ 32,767 | 15비트 ✅ |
1024K = 2²⁰ | 0 ~ 1,048,575 | 20비트 (가상공간 기준) |
✅ 정답
④ 15
✅ 학생에게 쉽게 설명하는 팁
“기억공간이 32K라는 것은 실제 설치된 메모리가 32 * 1024 = 32,768개의 주소를 가진다는 뜻이에요.
이 주소 하나하나를 지정하려면 컴퓨터가 몇 비트로 표현해야 하는지를 물은 거예요.
log₂(32,768) = 15니까, 15비트 주소 레지스터가 필요한 거죠!”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9번 (0) | 2025.05.11 |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8번 (0) | 2025.05.11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6번 (0) | 2025.05.11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5번 (0) | 2025.05.07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4번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