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실제 전송요구가 있는 채널에만 시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전송 효율을 높이는 방식은?
①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
② 베이스밴드 방식
③ 광대역 대중화 방식
❹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방식
300x250
이 문제는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중화 방식 중 시간 슬롯을 실제 전송이 있는 채널에만 동적으로 할당하는 기술을 묻고 있습니다.
이는 채널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해당합니다.
✅ 정답
❹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방식
✅ 해설
✔ 다중화(Multiplexing)란?
- 여러 개의 채널(또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 제한된 전송 회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방식이 있습니다:
- FDM (주파수 분할 다중화)
- TDM (시분할 다중화)
- STDM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STDM, Statistical TDM)
항목 설명
핵심 특징 | 데이터가 있는 채널에만 시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 |
장점 |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전송 효율을 높임 |
예시 | 10개 채널 중 3개만 실제 전송할 경우, 그 3개에만 시간 슬롯을 줌 |
비교 | 일반 TDM은 고정된 시간 슬롯을 모든 채널에 동일하게 할당, 데이터가 없어도 슬롯 낭비됨 |
✔ 보기별 해설
보기 방식 설명 정답 여부
① |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 각 채널에 고정된 주파수 대역을 나눠주는 방식. 고정된 자원 사용. | ❌ |
② | 베이스밴드 방식 | 변조 없이 원신호를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 다중화 기술이 아님. | ❌ |
③ | 광대역 다중화 방식 | 광케이블 등을 활용한 고속 대역 다중화. 문제의 포인트와 다름. | ❌ |
❹ |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STDM) | 전송 요청이 있는 채널에만 시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 전송 효율 우수. | ✅ |
✅ 결론
- 실제 전송 요구가 있는 채널에만 시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자원을 아끼는 방식은
👉 ❹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방식입니다.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번 (0) | 2025.05.14 |
---|---|
2018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번 (0) | 2025.05.14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9번 (0) | 2025.05.14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8번 (0) | 2025.05.14 |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7번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