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7번

엉클지니 2025. 3. 22. 22:53

47.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접근 경로 설계

저장 레코드의 양식 설계

 목표 DBMS에 맞는 스키마 설계

 

 

문제 분석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크게 다음 3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개념적 설계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 같은 개념적 모델을 작성
    • 데이터의 개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 정의
  2. 논리적 설계
    • 개념적 모델을 논리적 데이터 모델(릴레이션, 테이블) 로 변환
    • 정규화를 적용하여 중복을 최소화
    • DBMS에 독립적인 데이터 구조 설계
  3. 물리적 설계
    • 논리적 설계를 실제 DBMS 환경에 맞게 구현하는 단계
    •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과 성능 최적화를 고려
    • 인덱스, 클러스터링, 파티셔닝, 접근 경로 설계 등 포함

각 선택지 분석

①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O)

  • 자주 함께 사용되는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디스크 접근 성능 최적화
  • 예: 같은 테이블 내에서 자주 조회되는 데이터는 물리적으로 가깝게 저장

② 접근 경로 설계 (O)

  • 인덱스, 클러스터링, 파티셔닝 등을 고려하여 데이터 검색 성능을 최적화
  • SQL 실행 계획(Execution Plan) 분석

③ 저장 레코드의 양식 설계 (O)

  • 데이터 블록 크기, 저장 포맷, 레코드 크기 등을 최적화
  • 성능을 고려하여 고정 길이 vs 가변 길이 레코드 결정

④ 목표 DBMS에 맞는 스키마 설계 (X)

  •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작업
  • 물리적 설계는 이미 논리적 설계가 완료된 후 DBMS에 맞게 튜닝하는 과정
  • 반면, 목표 DBMS에 따라 테이블, 속성, 관계를 정의하는 것은 논리적 설계의 역할

정답: ④ 목표 DBMS에 맞는 스키마 설계

이유: 스키마 설계는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것이지, 물리적 설계 단계의 작업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