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8번

엉클지니 2025. 3. 23. 01:23

68. 프로세스 적재 정책과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반복, 스택, 부프로그램은 시간 지역성(Temporal Locality)과 관련이 있다.

공간 지역성(Spatial Locality)은 프로세스가 어떤 페이지를 참조했다면 이후 가상주소공간상 그 페이지와 인접한 페이지들을 참조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페이지 교환에 보내는 시간보다 프로세스 수행에 보내는 시간이 더 크면 스레싱(Thrashing)이 발생한다.

스레싱(Thrash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문제는 프로세스 적재 정책과 메모리 관리 관련 개념을 다루고 있습니다. 각 선택지를 분석하여 틀린 설명을 찾아보겠습니다. 😊


1. 선택지 분석

① 반복, 스택, 부프로그램은 시간 지역성(Temporal Locality)과 관련이 있다.

  • 시간 지역성(Temporal Locality): 어떤 데이터나 코드가 참조되었다면 가까운 시간 내에 다시 참조될 가능성이 높다는 성질입니다.
    • 반복: 반복문에서는 같은 데이터를 여러 번 참조하므로 시간 지역성에 관련이 있습니다.
    • 스택: 함수 호출 시 지역 변수들이 가까운 시간 내에 참조되므로 시간 지역성에 관련이 있습니다.
    • 부프로그램: 주로 동일한 부프로그램을 반복해서 호출할 때 시간 지역성에 관련이 있습니다.
  • 이 설명은 맞습니다. 👍

② 공간 지역성(Spatial Locality)은 프로세스가 어떤 페이지를 참조했다면 이후 가상주소공간상 그 페이지와 인접한 페이지들을 참조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 공간 지역성(Spatial Locality): 특정 데이터나 코드가 참조되면 그 근처에 있는 다른 데이터나 코드도 참조될 가능성이 높다는 성질입니다.
    • 예를 들어, 배열을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경우 공간 지역성에 해당합니다.
  • 이 설명은 맞습니다. 👍

③ 일반적으로 페이지 교환에 보내는 시간보다 프로세스 수행에 보내는 시간이 더 크면 스레싱(Thrashing)이 발생한다.

  • 스레싱(Thrashing): 프로세스가 자주 페이지 교환을 하게 되어, 실제로 수행해야 할 작업보다 페이지 교환에 시간이 더 걸리게 되는 현상입니다.
  • 스레싱은 페이지 교환이 너무 자주 발생하여 성능 저하가 심각해지는 현상인데, 일반적으로 페이지 교환에 보내는 시간보다 프로세스 수행에 보내는 시간이 더 크면 스레싱이 발생한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 틀린 부분: 스레싱은 페이지 교환에 보내는 시간이 너무 많아질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즉, 페이지 교환이 너무 자주 일어날 때 스레싱이 발생하므로 "페이지 교환에 보내는 시간보다 프로세스 수행에 보내는 시간이 더 크면"이라는 부분이 잘못된 설명입니다.
  • 이 설명은 틀립니다. ❌

④ 스레싱(Thrash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스레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프로세스가 필요한 메모리 공간(프레임)을 충분히 할당받아야 하며, 이를 통해 페이지 교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이 설명은 맞습니다. 👍

결론

  • 틀린 설명번입니다.
  • 정답은 ❸ 일반적으로 페이지 교환에 보내는 시간보다 프로세스 수행에 보내는 시간이 더 크면 스레싱(Thrashing)이 발생한다입니다.

스레싱은 페이지 교환이 너무 자주 발생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페이지 교환에 보내는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실제 프로세스 수행보다 페이지 교환에 소모되는 시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스레싱이 발생합니다. 🔄

정답은 ❸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