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리눅스 Bash 쉘(Shell)에서 export와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변수를 출력하고자 할 때는 export를 사용해야 한다.
② export가 매개변수 없이 쓰일 경우 현재 설정된 환경변수들이 출력된다.
③ 사용자가 생성하는 변수는 export 명령어 표시하지 않는 한 현재 쉘에 국한된다.
④ 변수를 export 시키면 전역(Global)변수처럼 되어 끝까지 기억된다.
이 문제는 리눅스 Bash 쉘에서 export 명령어와 관련된 개념을 묻는 문제입니다. 각 선택지를 분석하여 틀린 설명을 찾아보겠습니다. 😊
1. 선택지 분석
❶ 변수를 출력하고자 할 때는 export를 사용해야 한다.
- export는 변수를 환경 변수로 설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export는 변수의 값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변수의 값을 환경 변수로 만들어 자식 프로세스들에게 전달합니다.
- 변수를 출력하려면 echo나 printenv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 이 설명은 틀립니다. ❌
② export가 매개변수 없이 쓰일 경우 현재 설정된 환경변수들이 출력된다.
- export를 매개변수 없이 사용하면, 현재 쉘에 설정된 모든 환경 변수들이 출력됩니다. 예를 들어, export만 입력하면, 현재 설정된 환경 변수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 이 설명은 맞습니다. 👍
③ 사용자가 생성하는 변수는 export 명령어 표시하지 않는 한 현재 쉘에 국한된다.
- 맞습니다. export 명령어는 환경 변수를 설정하여 자식 프로세스에 전달하는데 사용됩니다. export 없이 정의된 변수는 현재 쉘에서만 유효하고, 자식 프로세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이 설명은 맞습니다. 👍
④ 변수를 export 시키면 전역(Global)변수처럼 되어 끝까지 기억된다.
- export를 사용하여 변수를 설정하면, 그 변수는 환경 변수로 설정되어 자식 프로세스에서 사용 가능해집니다. 그러나 전역 변수는 아니며, 이 변수는 해당 세션과 자식 프로세스들에서만 유지됩니다. 시스템을 종료하거나 세션이 종료되면 변수가 사라집니다.
- 이 설명은 맞습니다. 👍
결론
- 정답은 ❶입니다! 🎉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3번 (0) | 2025.03.23 |
---|---|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2번 (0) | 2025.03.23 |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0번 (0) | 2025.03.23 |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9번 (0) | 2025.03.23 |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8번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