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9번

엉클지니 2025. 3. 25. 00:28

39. 필드 테스팅(field testing)이라고도 불리며 개발자 없이 고객의 사용 환경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인수검사 기법은?

     베타 검사     알파 검사

    형상 검사      복구 검사

 

 

문제 분석 및 해설: 필드 테스팅 (Field Testing) 🧪

문제:

"필드 테스팅(field testing)이라고도 불리며 개발자 없이 고객의 사용 환경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인수검사 기법은?"

  1. 베타 검사
  2. 알파 검사
  3. 형상 검사
  4. 복구 검사

문제 해설:

**필드 테스팅(field testing)**은 소프트웨어가 실제 사용 환경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중요한 테스트입니다. 이를 통해 실제 사용자의 환경에서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각 항목을 살펴보겠습니다.

  1. 베타 검사:
    • 베타 검사는 소프트웨어가 완전히 개발된 후, 실제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고객 환경에서 시험해보는 과정입니다. 이때 개발자 없이 사용자가 테스트를 수행하며,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버그를 발견하고 개선점을 찾습니다.
    • 맞는 설명입니다. 베타 검사는 바로 필드 테스팅을 의미하며, 고객의 실제 사용 환경에서 이루어집니다.
  2. 알파 검사:
    • 알파 검사는 개발팀 내에서 개발자와 내부 사용자가 수행하는 테스트입니다.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개발팀에서 미리 테스트하여 버그를 수정하고 안정성을 확보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실제 사용자 환경에서 테스트하지는 않습니다.
    • 틀린 설명입니다. 알파 검사는 개발자 주도로 진행되며, 필드 테스팅과는 다릅니다.
  3. 형상 검사:
    • 형상 검사는 소프트웨어의 구성 요소(소스 코드, 문서, 라이브러리 등)의 일관성을 점검하는 검사입니다. 이는 버전 관리와 관련된 검사이지,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인수 검사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 틀린 설명입니다. 형상 검사는 필드 테스팅과 관련이 없습니다.
  4. 복구 검사:
    • 복구 검사는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했을 때, 시스템이 정상 상태로 복구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이는 시스템 안정성에 관한 검사로, 소프트웨어 설치 후의 인수 검사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 틀린 설명입니다. 복구 검사는 시스템 복원력에 관한 검사입니다.

결론:

  • 정답❶ 베타 검사입니다. 베타 검사는 고객 환경에서 개발자 없이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하는 필드 테스팅 방식입니다.

표로 정리:

번호 설명 설명의 정확성

베타 검사 맞음
알파 검사 틀림
형상 검사 틀림
복구 검사 틀림

베타 테스트는 실제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실제 환경에서 시험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