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병행제어의 로킹(Locking)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데이터베이스, 파일, 레코드 등은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
②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로킹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③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단위를 로킹단위라고 한다.
❹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진다.
이 문제는 병행 제어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로킹(Locking) 단위에 대한 설명을 묻고 있습니다. 로킹은 병행 트랜잭션 처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데이터를 처리할 때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문제 분석:
질문:
"병행제어의 로킹(Locking)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요?"
선택지:
- 데이터베이스, 파일, 레코드 등은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
-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로킹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단위를 로킹단위라고 한다.
-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진다.
해설:
로킹(Locking):
- 로킹은 병행 제어의 한 기법으로, 여러 트랜잭션이 동일한 데이터에 접근할 때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로킹 단위는 데이터를 잠그는 최소 단위로, 로킹의 범위에 따라 병행성 수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작은 단위를 로킹하면 더 많은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지만, 그만큼 오버헤드가 커지거나 병행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1번 선택지:
"데이터베이스, 파일, 레코드 등은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
- 옳은 설명입니다. 로킹 단위는 데이터베이스 전체, 파일, 레코드 등 다양한 단위로 설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레코드를 잠글 수도 있고, 전체 파일을 잠글 수도 있습니다. 로킹 단위는 작업의 특성에 맞춰 조정될 수 있습니다.
2번 선택지: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로킹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예를 들어 레코드 단위로 로킹을 한다면, 더 많은 트랜잭션이 동시에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지만, 잠금을 관리하는 오버헤드가 증가합니다. 잠금을 많이 해야 하므로 시스템 자원 소모가 커지죠.
3번 선택지: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단위를 로킹단위라고 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로킹단위는 한 번에 잠글 수 있는 최소 범위를 의미합니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레코드나 파일 등이 바로 로킹 단위가 될 수 있습니다.
4번 선택지: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진다."
- 잘못된 설명입니다. 사실,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작은 단위로 잠금이 이루어지면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레코드 단위로 잠그면 파일 전체를 잠글 때보다 더 많은 트랜잭션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로킹 오버헤드는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결론:
4번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높아지지, 낮아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❹입니다.
정리 표:
선택지 설명 맞고 틀린 여부
① | 데이터베이스, 파일, 레코드 등은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 | 맞음 |
② |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로킹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 맞음 |
③ |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단위를 로킹단위라고 한다. | 맞음 |
❹ |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진다. | 틀림 |
예시 설명:
- 로킹 단위가 작은 경우 (레코드 단위 로킹)
- 장점: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작업할 수 있어 병행성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A 트랜잭션은 레코드 1을, B 트랜잭션은 레코드 2를 잠그고 작업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오버헤드가 증가하고, 잠금 관리를 위한 추가 자원 소모가 발생합니다.
- 로킹 단위가 큰 경우 (파일 단위 로킹)
- 장점: 잠금 관리가 간단하고 오버헤드가 적습니다.
- 단점: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작업할 수 없어 병행성이 떨어집니다.
결론: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높아지기 때문에, 4번 설명이 잘못된 것입니다. 😊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8번 (0) | 2025.03.25 |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7번 (0) | 2025.03.25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5번 (0) | 2025.03.25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4번 (0) | 2025.03.25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3번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