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1117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6번

86. 직류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디지털 형태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근거리 통신망에 사용되는 전송 방식은? ① 펄스코드변조 ② 디지털변조 ③ 브로드밴드 ❹ 베이스밴드 이 문제는 전송 방식에 관한 문제로, 직류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디지털 형태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각 전송 방식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 분석핵심 키워드:직류 신호: 변조 없이 그대로 전송되는 신호.디지털 형태: 신호가 디지털 형식으로 표현되어 전송됨.근거리 통신망 (LAN): 네트워크의 한 형태로, 일반적으로 짧은 거리 내에서 통신을 하는 방식.🔹 전송 방식 보기별 분석보기 전송 방식 설명① 펄스코드변조 (PCM)아날로그 신..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5번

85. 공중데이터망에서 팻킷형 터미널을 위한 DCE와 DTE사이의 접속규격을 나타내는 것은? ① X.4 ② X.24 ❸ X.25 ④ X.27 🔸 문제 분석문제:공중데이터망에서 팻킷형 터미널을 위한 DCE와 DTE 사이의 접속규격을 나타내는 것은?핵심 키워드:DCE: 데이터 회선 종료 장비 (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DTE: 데이터 터미널 장비 (Data Terminal Equipment)공중 데이터망: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 데이터 통신망팻킷형 터미널: 데이터를 패킷 형식으로 전송하는 터미널접속 규격: DTE와 DCE 간의 연결을 위한 표준🔹 각 선택지 분석보기 표준 설명 용도① X.4공중 데이..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4번

84. 128.107.176.0/22 네트워크에서 호스트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서브넷 마스크는? ① 255.0.0.0 ② 255.248.0.0 ❸ 255.255.252.0 ④ 255.255.255.255 이 문제는 서브넷 마스크와 IP 주소 관련 문제로,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법을 사용한 서브넷 마스크 계산이 포함됩니다. 주어진 IP 주소와 서브넷 크기를 기반으로 호스트가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 마스크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문제 분석주어진 정보:IP 주소: 128.107.176.0/22여기서 "/22"는 서브넷 마스크의 접두사 길이를 나타냅니다. 즉, 네트워크 부분이 22비트이고, 나머지 32..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3번

83.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상호 변환하여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송 속도를 높이는 변조 방식은? ① ASK ② FM ③ PSK ❹ QAM 정보처리기사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변조 방식 문제로, 무턱대고 외우기보다는 개념과 차이점을 확실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 문제 해설과 함께 비교 표도 넣어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문제 분석문제:83.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상호 변환하여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송 속도를 높이는 변조 방식은?핵심 키워드: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환전송 속도 향상🔹 보기별 설명보기 변조 방식 의미 전송 신호 요소 특징① ASKAmplitude Shift Keying진폭편이변조진폭만 변조단순하지만 잡음에 약함② FMFre..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2번

82.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전송 방식은? ❶ 비동기식 전송 ② 동기식 전송 ③ 아날로그 전송 ④ 디지털 전송 ✅ 문제 분석📌 문제 지문:많은 데이터를 보내면 Framing Error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약 2Kbps 이하의 저속단거리 전송에 사용된다.📌 문제 보기:비동기식 전송동기식 전송아날로그 전송디지털 전송🧠 핵심 키워드 해석핵심 문장 의미 해설Framing Error데이터 프레임을 잘못 해석하는 오류 (특히 비동기식 전송에서 자주 발생)약 2Kbps 이하아주 저속 전송 속도저속단거리 전송간단한 연결, 짧은 거리, 복잡하지 않은 통신 방식 사용🔍 보기별 분석보기 설명 맞는지 여부❶ 비동기식 전송데이터를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로 나누어 전송함. 속도가 느리고 ..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1번

81. 송/수신측 간의 전송 경로 중 최적의 패킷 교환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인 경로의 설정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성능 기준 ② 경로 결정 시간 ❸ 메세지 은닉 기준 ④ 경로 배정 갱신 시간 이 문제는 패킷 교환 방식의 통신망에서 ‘경로 설정(Route Establishment)’ 시 고려하는 요소에 대한 이해를 묻고 있습니다.특히 보기 중 네트워크 개념이 아닌 보안 또는 응용 계층에 가까운 개념을 섞어서 수험생들이 혼동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정확한 정의와 오답 포인트 파악이 중요합니다.✅ 1. 핵심 개념: 경로 설정이란?네트워크에서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최적의 경로(최단, 고속, 안정적 등)**를 찾아주는 작업입니다.?..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0번

80. 객체지향 프로그램 개발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프트웨어의 재사용률이 높아진다. ❷ 절차중심의 프로그램밍 기법이다. ③ 개체모델의 주요요소의 추상화, 캡슐화, 모듈화 등이다. ④ 설계 시 자료와 자료에 가해지는 프로세서를 묶어 정의하고 관계를 규명한다. 이 문제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의 핵심 개념과 특징을 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고 있습니다.특히 보기 중 하나는 절차지향 프로그래밍과 혼동하기 쉽기 때문에 헷갈리는 수험생이 많습니다.✅ 1.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핵심 요약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현실 세계의 개체(Object)를 모델링하여, **데이터(속성)**와 **행위(메서드)..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9번

79. S/W재공학 활동 중 기존 S/W를 다른 운영체제나 하드웨어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작업은? ① 분석(Analysis) ② 개조(Restructring) ❸ 이식(Migration) ④ 역공학(Reverse Engineering) 이 문제는 **소프트웨어 재공학(S/W Reengineering)**의 활동 유형 중 하나인 "이식(Migration)" 개념을 묻는 문제이며, 수험생들이 역공학, 개조, 이식의 차이를 헷갈리기 쉽기 때문에 자세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1. 문제 핵심 요약기존 소프트웨어를 다른 운영체제나 하드웨어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작업은 무엇인가?→ 운영체제(OS)나 하드웨어가 바뀌는 상황→ 기존 소프트웨어를 새로운 환..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8번

78. 다음 중 상위 CASE 도구가 지원하는 주요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모델들 사이의 모순검사 가능 ❷ 전체 소스코드 생성 기능 ③ 모델의 오류검증 기능 ④ 자료흐름도 작성 기능 이 문제는 CASE 도구(CASE Tool: Computer-Aided Software Engineering), 그중에서도 **상위 CASE 도구(Upper CASE Tool)**의 기능 구분을 정확히 아는지를 묻는 대표적인 유형입니다.정보처리기사에서 자주 출제되는 개념이므로, 수험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CASE 도구의 종류 → 보기별 분석 → 정답 해설 → 표 정리로 설명드릴게요.✅ 1. CASE 도구란?CASE 도구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각 단계를 자동화/지원해주는 도구입니다.CAS..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7번

77. 캡슐화(Encapsulation)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하나로 묶는 것이다. ② 캡슐화된 객체의 세부 내용이 외부에 은폐되어 변경이 발생하게되 오류의 파급 효과가 적다. ③ 인터페이스가 단순해지고 객체 간의 결합도가 낮아진다. ❹ 캡슐화된 객체들은 재사용이 불가능해진다. 이 문제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캡슐화(Encapsulation)’**에 대한 이해를 묻고 있습니다. 수험생들이 헷갈릴 수 있는 표현을 일부러 포함한 보기이기 때문에, 개념 정리와 함께 **틀린 보기(오답)**에 집중해서 설명해드릴게요.✅ 1. 캡슐화(Encapsulation)란?캡슐화란?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숨기고, 해당 데이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