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정보처리기사 1515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9번

59. 데이터 속성 간의 종속성에 대한 엄밀한 고려없이 잘못 설계된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 처리 연산 수행 시 각종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상 현상이 아닌 것은?❶ 검색 이상           ② 삽입 이상③ 삭제 이상           ④ 갱신 이상 이 문제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 현상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이런 이상 현상은 속성 간 종속성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고 잘못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상 현상은 정규화 과정을 통해 방지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 현상잘못 설계된 테이블에서는 중복된 데이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여러 종류의 이상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요 이상 현상에는 ..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8번

58. 트랜잭션의 실행이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연산자로 트랜잭션이 수행한 결과를 원래의 상태로 원상 복귀 시키는 연산은?① COMMIT 연산       ② BACKUP 연산③ LOG 연산               ❹ ROLLBACK 연산 이 문제는 트랜잭션의 실행 실패 시, 트랜잭션이 수행한 작업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연산자에 관한 문제입니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위로, 트랜잭션이 중간에 실패하거나 오류가 발생하면 그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메커니즘이 필요합니다.각 선택지 분석① COMMIT 연산:COMMIT 연산은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고, 트랜잭션의 변경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영구적으로 반영하는 연산입니다. 실패 시 원상복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② BACK..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7번

57. 개체-관계 모델(E-R)의 그래픽 표현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개체타입 – 사각형      ② 속성 - 원형③ 관계타입 - 마름모       ❹ 연결 - 삼각형   이 문제는 **개체-관계 모델(Entity-Relationship Model, E-R 모델)**의 그래픽 표현에 대한 문제입니다. E-R 모델은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과정에서 개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각 요소의 그래픽 표현은 표준화된 기호로 나타내며, 문제에서는 그 기호에 대한 이해를 묻고 있습니다.각 기호의 정의E-R 모델에서의 주요 기호는 다음과 같습니다:개체타입 (Entity Type):그래픽 표현: 사각형개체타입은 실제 세계에서 무엇..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6번

56.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델에서 차수(Degree)의 의미는?① 튜플의 수                  ② 테이블의 수③ 데이터베이스의 수    ❹ 애트리뷰트의 수   이 문제는 **차수(Degree)**의 의미를 묻는 문제입니다.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델에서 차수는 테이블의 속성(애트리뷰트)의 수를 나타냅니다.차수(Degree)의 정의**차수(Degree)**는 **릴레이션(테이블)**에 포함된 속성(attribute)의 수를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학생 테이블이 학번, 이름, 나이, 전공과 같은 4개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이 테이블의 차수는 4입니다.각 선택지 분석① 튜플의 수: 이는 **카디널리티(cardinality)**의 의미입니다. 카디널리티는 테이블에 있는 행(row), 즉 튜플(tup..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4번

54. 속성(attribut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① 속성은 개체의 특성을 기술한다.② 속성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이다.③ 속성은 파일 구조상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에 해당된다.❹ 속성의 수를 "cardinality" 라고 한다. 이 문제는 **속성(attribute)**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묻고 있습니다. 각 선택지에서 속성에 대한 설명이 맞는지 틀린지를 확인하는 문제입니다. 속성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중요한 개념이므로 하나씩 차근차근 분석해보겠습니다.각 선택지 분석① 속성은 개체의 특성을 기술한다.맞는 설명입니다. 속성은 개체(entity)의 특성이나 성질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학생이라는 개체의 속성으로는 이름, 나이, 학번, 주소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3번

53. 릴레이션 R의 차수가 4이고 카디널리티가 5이며, 릴레이션 S의 차수가 6이고 카디널리티가 7일 때, 두 개의 릴레이션을 카티션 프로덕트한 결과의 새로운 릴레이 션의 차수와 카디널리티는 얼마인가?① 24, 35     ② 24, 12❸ 10, 35      ④ 10, 12   이 문제는 **카티션 프로덕트(Cartesian Product)**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는 문제입니다. 카티션 프로덕트는 두 개의 릴레이션(테이블)의 모든 가능한 튜플을 결합하는 연산입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릴레이션이 만들어지며, 차수(속성의 수)와 카디널리티(튜플의 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문제 분석릴레이션 R의 차수는 4이고, 카디널리티는 5입니다.차수는 릴레이션에 포함된 속성(열)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2번

52. 관계형 데이터 모델의 릴레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① 모든 속성 값은 원자 값을 갖는다.②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은 모두 상이하다.③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❹ 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 사이에는 순서가 존재한다.  관계형 데이터 모델(Relational Data Model)의 릴레이션(Relation) 특성릴레이션(Relation)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표(테이블) 형태로 표현한 것입니다.릴레이션의 중요한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릴레이션의 주요 특징1️⃣ 모든 속성(컬럼) 값은 원자 값(Atomic Value)을 갖는다.즉, 하나의 셀에는 하나의 값만 존재해야 합니다.✅ (O) ①번 문장은 맞음.2️⃣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행)은 모두 상..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1번

51. 다음 관계 대수 중 순수 관계 연산자가 아닌 것은?❶ 차집합(difference)        ② 프로젝트(project)③ 조인(join)                     ④ 디비전 (division) 관계 대수(Relational Algebra)와 순수 관계 연산자관계 대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변형하는 연산을 정의하는 방법입니다. 이 중 순수 관계 연산자란, 기본적인 집합 연산을 기반으로 릴레이션(테이블) 간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를 의미합니다.순수 관계 연산자의 종류✅ 1. 순수 관계 연산자 (기본적인 연산)선택(Selection, σ)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행) 선택투영(Projection, π) → 특정 속성(열)만 선택합집합(Union, ∪) → 두..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0번

50. 다음 R1과 R2의 테이블에서 아래의 실행 결과를 얻기 위한 SQL문은?❶ SELECT 과목번호, 과목이름 FROM RI, R2 WHERE R1.학번 = R2. 학번 AND R1.학과='전자공학' AND R1.이름 = '강남길’;    ② SELECT 과목번호, 과목이름 FROM RI, R2 WHERE R1.학번 = R2.학번 OR R1.학과='전자공학' OR R1.이름 = '홍길동';    ③ SELECT 과목번호, 과목이름 FROM R1, R2 WHERE R1.학번 = R2.학번 AND R1.학과=‘컴퓨터공학' AND R1.이름 '강남길’;    ④ SELECT 과목번호, 과목이름 FROM R1, R2 WHERE R1.학번 = R2.학번 OR R1.학과='컴퓨터공학' OR R1.이름 = '홍길..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9번

49. 병행제어 기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① 로킹 기법              ❷ 시분할 기법③ 타임 스탬프 기법  ④ 다중 버전 기법 문제 분석병행제어(Concurrency Control)란?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될 때,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기법트랜잭션 간 충돌을 방지하고 데이터베이스가 올바르게 동작하도록 보장💡 문제에서 "병행제어 기법이 아닌 것"을 찾는 것이 핵심!각 선택지 분석✅ ① 로킹(Locking) 기법 → O (병행제어 기법)데이터에 Lock(잠금)을 설정하여 동시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기법대표적인 방법:공유(Shared) Lock: 여러 트랜잭션이 읽기는 가능하지만, 쓰기는 불가능배타(Exclusive) Lock: 한 트랜잭션이 독점적으로 읽고 쓸 수 있음💡 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