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0번

엉클지니 2025. 4. 2. 22:21

50. 관계대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주어진 릴레이션 조작을 위한 연산의 집합이다.

    ② 일반 집합 연산과 순수 관계 연산으로 구분된다.

    질의에 대한 해를 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산의 순서를 명시한다.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비절차적방법이다.

 

 

💡 문제 분석

관계대수(Relational Algebra)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문제입니다. 각 선택지를 하나씩 분석해 봅시다.


📖 관계대수란?

관계대수는 릴레이션(테이블)을 조작하기 위한 연산의 집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어떤 연산을 어떤 순서로 수행할 것인지 명확히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 관계대수는 절차적(Query 방식) 방법입니다. (👉 순서를 명시하기 때문)


🔍 선택지 분석

번호 선택지 내용 분석 및 정답 여부

주어진 릴레이션 조작을 위한 연산의 집합이다. ✅ 맞음. 관계대수는 릴레이션을 조작하는 연산들의 집합입니다.
일반 집합 연산과 순수 관계 연산으로 구분된다. ✅ 맞음. 관계대수 연산은 일반 집합 연산(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등)과 순수 관계 연산(선택, 투사, 조인 등)으로 나뉩니다.
질의에 대한 해를 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산의 순서를 명시한다. ✅ 맞음. 관계대수는 연산 순서를 정확히 명시해야 합니다. (절차적 방법)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비절차적 방법이다. ❌ 틀림. 관계대수는 절차적 방법입니다. 비절차적 방법은 관계해석(Relational Calculus)에 해당합니다.

✅ 정답:

관계대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연산의 순서를 명시하는 절차적 방법입니다. 따라서 비절차적 방법이라고 설명한 ④번은 틀린 내용입니다.


💡 관계대수 vs 관계해석 (비교표)

관계대수 (Relational Algebra) 관계해석 (Relational Calculus)

절차적 방법 (연산 순서 명시) 비절차적 방법 (연산 순서 미명시)
연산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음 원하는 결과가 어떤 조건을 만족하는지 표현
SQL의 SELECT, JOIN 등과 유사 SQL의 WHERE, EXISTS 등과 유사

✍ 결론

④번이 틀린 설명입니다! 관계대수는 절차적 방법이라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