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10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0번

10.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작업 단위를 무엇이라하는가? ① 프로시저 ❷ 트랜잭션 ③ 모듈 ④ 도메인 이번 문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리적 작업 단위”**가 무엇인지를 묻고 있어요.정보처리기사 시험에서 트랜잭션(Transaction) 개념은 매우 자주 등장해요.✅ 문제 해석"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해논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작업 단위는?"🔍 정답: ❷ 트랜잭션(Transaction)🧠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예요.이 단위는 완전히 실행되거나, 전혀 실행되지 않아야 해요. (올바름 유지!)예를 들어:..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번

9. 다음 그래프에서 정점 A를 선택하여 깊이우선탐색(DFS)으로 운행한 결과는? ① ABECDFG ② ABECFDG ③ ABCDEFG ❹ ABEFGCD 🧠 문제 요약다음 그래프에서 정점 A를 시작으로 DFS (Depth First Search, 깊이 우선 탐색) 했을 때,올바른 탐색 순서는?🌐 그래프 구조 다시 보기 A / | \ B C D | | \ E F (C와 D 연결) | \ G정점 연결 요약:정점 연결된 정점AB, C, DBA, E, CCA, B, F, DDA, CEB, FFC, E, GGF※ DFS는 깊게 파고들기, 가능한 한 한 방향 끝까지 감그리고 방문한 노드는 다시 방문하지 않음✅ DFS 실행 (시작 정점: A..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번

8. 다음 트리를 전위 순회(preorder traversal)한 결과는? ① +*AB/*CDE ② AB/C*D*E+ ③ A/B*C*D+E ❹ +**/ABCDE 이번 문제는 **수식 이진 트리(Expression Tree)**를 보고전위 순회(Preorder Traversal) 결과를 묻는 문제예요.트리 순회 방식은 정보처리기사에서 자주 출제되니까 꼭 익혀둬야 해요! 😄📘 문제 요약주어진 수식 트리를 전위 순회(Preorder) 했을 때 결과는?✅ 전위 순회(Preorder Traversal)란?👉 순서:[루트 → 왼쪽 → 오른쪽]즉, 자기 자신 → 왼쪽 자식 → 오른쪽 자식🔍 트리 구조 해석주어진 트리: + / \ * E ..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번

7. DBMS의 필수기능 중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이 요구하는 데이터 구조를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데이터 타입과 구조에 대한 정의, 이용 방식, 제약조건 등을 명시하는 기능은? ❶ 정의 기능 ② 조작 기능 ③ 사상 기능 ④ 제어 기능 이번 문제는 DBMS의 필수 기능 중 "정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예요 😊하나씩 차근차근 설명해드릴게요!📘 문제 요약DBMS 기능 중에서데이터 구조, 타입, 제약조건 등을 정의하는 기능은 무엇인가요?🔍 핵심 키워드 정리질문에서 중요 키워드는 아래와 같아요:데이터 타입데이터 구조제약조건이용 방식저장될 데이터의 정의이런 걸 사전에 설정하는 기능은 바로 정의 기능이에요!✅ 보기별 분석보기 설명 정답 여부❶ ..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번

6. 순서가 A, B, C, D로 정해진 자료를 스택(stack)에 입력하였다가 출력한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B, A, D, C ② A, B, C, D ❸ D, A, B, C ④ C, B, A, D 이 문제는 스택(Stack) 자료구조의 특징을 이해하는지를 묻는 문제예요.정보처리기사 필수 개념이니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문제 요약자료 A, B, C, D를 **스택(stack)**에 입력한 후,출력 결과로 나올 수 없는 것은?👉 즉, 스택에 넣었다가 꺼낼 수 없는(=옳지 않은) 순서를 고르는 문제예요!📌 스택(Stack) 개념 복습✅ 특징LIFO (Last In, First Out)→ 나중에 들어간 게 먼저 나온다!✅ 예시A, B, C, D를 순서..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번

5. SQL에서 DELETE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테이블의 행을 삭제할 때 사용한다. ❷ WHERE 조건절이 없는 DELETE 명령을 수행하면 DROP TABLE 명령을 수행했을 때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③ SQL을 사용용도에 따라 분류할 경우 DML에 해당한다. ④ 기본 사용 형식은 “DELETE FROM 테이블 [WHERE 조건]”이다. 이 문제는 SQL의 DELETE 명령어에 대한 개념 문제예요.정보처리기사에서 데이터 조작어(DML) 파트에서 자주 출제되는 유형이죠 😊하나씩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문제 요약DELETE 명령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DELETE 명령어란?✅ 개념 정리DELETE는 **테이블에서 행(레코..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번

4. 다음 자료에 대하여 Selection Sorting으로 오름차순 정렬한 경우 PASS 3의 결과는? ❶ 3, 4, 7, 9, 8 ② 3, 4, 8, 9, 7 ③ 3, 8, 4, 9, 7 ④ 3, 4, 7, 8, 9 📘 문제 요약초기 상태: 8, 3, 4, 9, 7→ 이것을 Selection Sort로 오름차순 정렬할 때,→ PASS 3 후의 결과는?🔍 Selection Sort란?한 번 정렬할 때마다 가장 작은 값을 찾아서 앞으로 보내는 방식이에요.총 n-1회 비교(PASS)를 하고매 PASS마다 하나씩 정렬 완료 상태가 돼요.📌 단계별로 정렬해보기초기 배열:👉 8, 3, 4, 9, 7🔁 PASS 1:전체에서 가장 작은 값: 33과 맨 앞 8을 교환✅ 결과: 3,..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번

3. 관계해석에서 ‘for all : 모든 것에 대하여’의 의미를 나타내는 논리 기호는? ① ∃ ② ∈ ❸ ∀ ④ U 📘 문제 요약관계해석(Relational Calculus)에서**"모든 것에 대하여(for all)"**의 의미를 나타내는 논리 기호는?📌 핵심 개념 정리관계해석은 데이터베이스 이론에서, 무엇을 얻고 싶은지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이에요.여기에서 사용하는 **논리 기호(Logical Symbols)**는 수학의 명제 논리에서 가져왔어요.🧠 주요 논리 기호 정리기호 이름 의미 예시∀전칭 기호모든 것에 대해∀x (x > 0) → x는 모두 0보다 크다∃존재 기호어떤 것이 존재한다∃x (x = 3) → 어떤 x는 3이다∈원소 기호어떤 집합에 ..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번

2. 다음 트리에서 터미널 노드 수는? ① 2 ② 3 ❸ 4 ④ 8 📘 문제 요약다음 트리에서 **터미널 노드(단말 노드)**의 개수를 묻고 있어요.📌 용어 정리✅ 터미널 노드(단말 노드)란?자식 노드가 없는 노드를 말해요.다시 말해, 더 이상 아래로 뻗어나가지 않는 ‘끝’ 노드예요.👉 이진트리에서는 리프 노드(leaf node)라고도 해요.🔍 트리 구조 분석이미지의 트리를 단계별로 보면 아래와 같아요: A / \ B C / / \ D E F / \ G H이제 하나씩 살펴보며 단말 노드인지 아닌지 확인해볼게요:노드 자식 있음? 단말 노드?AB, C❌BD❌CE, F..

2019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번

1. 데크(Dequ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입력 제한 데크는 Shelf이고, 출력 제한 테크는 Scroll이다. ② 삽입과 삭제가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료 구조이다. ③ 스택과 큐의 장점으로 구성한 것이다. ④ Double Ended Queue의 약자이다. 이 문제는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준비하는 수험생에게 매우 중요한 개념인 데크(Deque) 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예요. 수험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선택지를 자세히 분석하고 개념을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문제:데크(Dequ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입력 제한 데크는 Shelf이고, 출력 제한 테크는 Scroll이다.삽입과 삭제가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