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4번

엉클지니 2025. 4. 8. 16:24

14. 아래의 UML 모델에서 '' 클래스와 각 클래스의 관계로 옳은 것은?

추상화 관계     의존 관계

 일반화 관계      그룹 관계

 

 

 😊
정보처리기사 문제를 쉽게, 자세하게 설명해줄게요. 아래는 주어진 UML 다이어그램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 문제 분석

📌 UML 다이어그램 설명:

이미지를 보면 가운데 상단에 차 클래스가 있고, 아래에 버스, 트럭, 택시 클래스가 있습니다.
이 세 클래스는 모두 차 클래스로부터 화살표가 위로 향한 삼각형 모양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이 화살표는 UML에서 일반화 관계 (Generalization) 를 나타냅니다.

🔑 키워드 정리:

용어 설명

일반화 관계 상속 관계. 부모 클래스(상위 클래스)의 속성과 동작을 자식 클래스(하위 클래스)가 물려받음.
추상화 관계 공통된 특징을 추출해 상위 클래스를 만드는 과정. 설계 방법 중 하나.
의존 관계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잠깐 사용할 때 (예: 매개변수로 사용).
그룹 관계 여러 개체를 묶는 관계 (예: 집합 관계, 포함 관계).

💡 정답 해설

🧩 UML에서 일반화 관계란?

  • 일반화(Generalization)는 "상속"을 의미합니다.
  • 상위 클래스인 차는 버스, 트럭, 택시의 공통된 속성이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각각의 하위 클래스는 차의 기능을 물려받거나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코드 (자바 스타일):

class 차 {
    String 제조사;
    void 운전() {
        System.out.println("차를 운전합니다");
    }
}

class 버스 extends 차 {
    int 승객수;
}

class 트럭 extends 차 {
    double 적재량;
}

class 택시 extends 차 {
    String 호출앱;
}
  • 여기서 버스, 트럭, 택시는 차를 상속받은 일반화 관계입니다.

✅ 결론

보기 번호 보기 내용 맞는지 여부 설명

추상화 관계 추상화는 설계 기법이지 UML에서의 명확한 관계는 아님
의존 관계 한 번 사용하는 관계로, 상속과는 무관
일반화 관계 정답! 상속(Generalization) 관계입니다
그룹 관계 포함, 집합 등을 의미하며 상속과 다름

🎯 정답: ③ 일반화 관계

궁금한 거 있으면 언제든 물어봐~ 😄
다음 문제도 같이 풀어볼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