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 다음 빈칸에 알맞은 기술은?
① Quantum Key Distribution
② Digital Rights Management
③ Grayware
❹ Mashup
문제 분석
다음 빈칸에 알맞은 기술은?
① Quantum Key Distribution
② Digital Rights Management
③ Grayware
④ Mashup
각 기술에 대한 설명
- Quantum Key Distribution (QKD)
- 설명: 양자역학의 원리를 이용하여 암호 키를 안전하게 교환하는 방법입니다. 제3자가 통신을 도청하거나 변조하려 하면 양자 상태가 변하기 때문에 이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 관련 분야: 주로 암호화 및 보안 통신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설명: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로, 콘텐츠의 복제, 배포, 접근 권한 등을 제어합니다.
- 관련 분야: 주로 미디어 콘텐츠 보호 및 관리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 Grayware
- 설명: 사용자에게 명시적으로 해를 끼치지는 않지만, 원치 않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시스템 자원을 소모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광고성 프로그램이나 불필요한 도구 모음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관련 분야: 주로 보안 및 시스템 최적화 분야에서 다룹니다.
- Mashup
- 설명: 여러 개의 서비스를 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기술로, 예를 들어 지도 서비스에 날씨 정보를 결합하는 것이 매시업에 해당합니다.
- 관련 분야: 주로 웹 개발 및 서비스 통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정답 선택
이 중에서 ④ Mashup은 개인 식별에 사용되지 않는 기술입니다. 반면에 다른 기술들은 특정 상황에서 개인 식별 정보를 처리하거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따라서 빈칸에 알맞은 기술은 ④ Mashup입니다.
출처
나의 말:
표도 만들어서 보여줘
ChatGPT의 말:
물론이죠! 😊
문제에 나온 각 기술을 개념, 주요 용도, 개인 식별과의 관련성으로 정리한 표를 아래에 만들어드릴게요.
이렇게 비교하면 정답이 왜 ④ Mashup인지 한눈에 보이실 거예요! 👇
📊 기술 비교 표
번호기술명개념 설명주요 사용 분야개인 식별과 관련?
① | Quantum Key Distribution (양자 키 분배) |
양자역학 기반으로 암호 키를 안전하게 교환하는 보안 기술 | 통신 보안, 암호화 기술 | ⚠️ 간접적으로 관련 가능 |
②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복제/이용을 제어하는 기술 | 미디어 저작권 보호, 콘텐츠 유통 | ✅ 사용자 인증 등 관련 있음 |
③ | Grayware | 사용자의 동의 없이 설치되어 광고나 추적 등 불편을 주는 소프트웨어 | 보안, 악성코드 대응 | ⚠️ 개인정보 수집 가능성 있음 |
④ | Mashup | 여러 웹 서비스나 콘텐츠를 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기술 | 웹 개발, 콘텐츠 통합 | ❌ 관련 없음 (정답) |
🎯 결론
- ❗ Mashup은 단지 웹 서비스들을 조합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일 뿐, 개인 식별이나 정보 추적과는 무관해요.
- 따라서 정답은 ✅ ④ Mashup입니다!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5번 (0) | 2025.04.10 |
---|---|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4번 (0) | 2025.04.10 |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2번 (0) | 2025.04.10 |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1번 (0) | 2025.04.10 |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0번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