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5번

엉클지니 2025. 4. 10. 16:32

85. 블록 암호화 방식이 아닌 것은?

    DES          RC4

    AES         SEED

 

 

😊 이 문제는 블록 암호화 방식에 관한 문제로, 암호화 알고리즘의 종류와 특징을 묻고 있어요. 각 암호화 방식의 특징을 잘 파악하면 쉽게 풀 수 있어요! 📚💡


🔍 문제 분석

블록 암호화 방식이 아닌 것은?

여기서 중요한 점은 블록 암호화 방식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입니다.
블록 암호화 방식은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각각을 암호화하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DES, AES는 이런 블록 암호화 방식입니다. 반면에, RC4스트림 암호화 방식이기 때문에 블록 암호화 방식에 속하지 않아요.


각 선택지 분석

DES (Data Encryption Standard)

  • 설명: 56비트 키를 사용하는 블록 암호화 방식입니다. 데이터가 64비트 블록 단위로 처리되어 암호화됩니다.
  • 블록 암호화: ✅ 블록 암호화 방식

RC4 (Rivest Cipher 4)

  • 설명: 스트림 암호화 방식입니다.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처리하며, 고정된 블록 크기가 아니라 데이터를 하나씩 처리하는 방식이에요.
  • 블록 암호화: ❌ 스트림 암호화 방식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 설명: 128비트 블록을 암호화하는 블록 암호화 방식입니다. 현재 AES대칭키 암호화로 많이 사용됩니다.
  • 블록 암호화: ✅ 블록 암호화 방식

SEED

  • 설명: 128비트 블록을 암호화하는 블록 암호화 방식입니다. 대한민국에서 개발된 대칭키 암호화 방식입니다.
  • 블록 암호화: ✅ 블록 암호화 방식

✅ 정답: ❷ RC4


🧠 상세 해설

  • 블록 암호화 방식은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암호화합니다. 이 방식은 보통 64비트 또는 128비트의 크기를 갖습니다. 예를 들어, DES, AES, SEED 등이 있습니다.
  • 반면에 스트림 암호화 방식은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처리합니다. RC4는 스트림 암호화 방식이기 때문에, 블록 암호화 방식이 아닙니다.

📊 암호화 방식 비교 표

번호 암호화 방식 종류 설명 블록 암호화인가?

DES 블록 암호화 64비트 블록, 56비트 키 사용 ✅ 블록 암호화 방식
RC4 스트림 암호화 비트 단위로 암호화하는 스트림 암호화 방식 ❌ 블록 암호화 방식
AES 블록 암호화 128비트 블록, 128/192/256비트 키 사용 ✅ 블록 암호화 방식
SEED 블록 암호화 128비트 블록, 128비트 키 사용 ✅ 블록 암호화 방식

🎯 결론

  • 블록 암호화 방식은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처리하는 방식이고, RC4스트림 암호화 방식이므로 정답은 ❷ RC4입니다.
  • 다른 선택지들은 모두 블록 암호화 방식이기 때문에 RC4만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런 문제를 풀 때, 암호화 방식의 특징을 잘 기억해두면 유용해요.
앞으로 대칭키, 비대칭키, 스트림 암호화, 블록 암호화 관련 문제도 나오니까 꼭 체크해두세요! 🔐📚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