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시스템 내의 정보는 오직 인가된 사용자만 수정할 수 있는 보안 요소는?
① 기밀성 ② 부인방지
③ 가용성 ❹ 무결성
✅ 문제 다시 보기
100. 시스템 내의 정보는 오직 인가된 사용자만 수정할 수 있는 보안 요소는?
① 기밀성
② 부인방지
③ 가용성
❹ 무결성
🔍 핵심 키워드 분석
문제 문장 요점 정리:
"정보는 인가된 사용자만 수정할 수 있다."
즉,
- 누군가가 허락 없이 정보 내용을 변경하거나 위조하는 걸 방지
- 원래 정보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보안 요소
➡️ 이것이 바로 ❹ 무결성 (Integrity) 이다!
💡 각 보기 개념 정리
보기 용어 뜻 이 문제와 관련성
① 기밀성 (Confidentiality) | 정보에 허가된 사람만 접근 가능 | 🔒접근 제어에 초점 / 내용 수정 X → ❌ | |
② 부인방지 (Non-repudiation) | 거래나 행위를 부인하지 못하게 증거 남김 | 예: 전자서명 | 관련 없음 → ❌ |
③ 가용성 (Availability) | 언제든 정보에 접근 가능해야 함 | 서버 다운 없이 계속 이용 가능 | 관련 없음 → ❌ |
❹ 무결성 (Integrity) | 정보가 허락된 사람만에 의해 수정되고, 원래 상태 유지 | ✅ 이 문제의 핵심! |
🎯 결론
항목 내용
❓ 문제 유형 | 정보보안의 3요소(CIA) 중 해당 개념 고르기 |
🔐 키워드 | “인가된 사용자만 수정 가능” → 정보의 정합성 유지 |
✅ 정답 | ❹ 무결성 (Integrity) |
💡 기억 팁 | |
👉 무결성 = “누가 수정했는지, 허락받았는지 중요” | |
👉 기밀성 = “누가 봤는지”, 가용성 = “언제든 쓸 수 있는지” |
🧾 정보보안 3대 요소(CIA) 요약표
요소 영어 의미 핵심 포인트 예시
🔒 기밀성 | Confidentiality | 허가된 사용자만 읽기 가능 | 정보 유출 방지 | 암호화, 접근 제어 |
🧩 무결성 | Integrity | 허가된 사용자만 수정 가능 | 정보 변경 방지 | 해시검증, 디지털 서명 |
🔄 가용성 | Availability | 언제든 접근 가능해야 함 | 서비스 중단 방지 | 백업, 이중화 시스템 |
✍️ 부인방지 | Non-repudiation | 행위를 부인하지 못하게 증명 | 책임 추적 | 전자서명, 로그 기록 |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번 (0) | 2025.04.16 |
---|---|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번 (0) | 2025.04.16 |
2020년 1회,2회(통합)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9번 (0) | 2025.04.16 |
2020년 1회,2회(통합)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8번 (0) | 2025.04.16 |
2020년 1회,2회(통합)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97번 (1)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