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1번

엉클지니 2025. 4. 23. 22:37
반응형

81. 무선 LAN에서 사용되는 매체접근방식(MAC)?

    ALOHA            tokec passing

    CSMA/CD        CSMA/CA

 

 

 

이 문제는 **무선 LAN에서 사용되는 매체 접근 방식(MAC)**에 대한 질문입니다.
무선 LAN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은 매체 접근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방식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다수의 장치가 동일한 채널을 공유할 때 충돌을 피하기 위한 방법을 규정합니다.


❖ 무선 LAN에서 사용되는 MAC 방식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 CSMA/CA무선 LAN에서 사용되는 매체 접근 제어 방식으로, 충돌을 피하기 위한 방식입니다.
  • CSMA/CA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채널이 비어 있는지 확인하고, 채널이 비어 있으면 전송을 시작합니다. 만약 채널이 바쁘면 충돌을 피하기 위해 대기합니다.
  • 무선 환경에서는 충돌을 감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충돌 방지(CA, Collision Avoidance) 방법을 사용하여 충돌을 방지합니다.
  • 따라서, 무선 LAN에서 주로 사용되는 MAC 방식입니다.

❖ 보기 분석


① ALOHA

  • ALOHA초기 무선 통신에서 사용된 매체 접근 제어 방식으로, 기본적인 방식입니다.
  • ALOHA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충돌을 피하지 않고,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 하지만 무선 LAN에서는 ALOHA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② Token Passing

  • Token Passing유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MAC 방식입니다.
  • 이 방식은 네트워크 상에서 하나의 토큰(패킷)을 순차적으로 전달하여, 토큰을 가진 장치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 무선 LAN에서는 이 방식이 주로 사용되지 않으며, CSMA/CA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 CSMA/CD유선 LAN에서 사용되는 매체 접근 제어 방식입니다.
  • 이 방식은 **충돌 감지(CD, Collision Detection)**를 통해 충돌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다시 전송을 시도하는 방식입니다.
  • 하지만 무선 LAN에서는 충돌을 감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CSMA/CA 방식이 사용됩니다.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 CSMA/CA무선 LAN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매체 접근 제어 방식입니다.
  • 이 방식은 충돌을 피하는(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사용하여, 충돌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합니다.
  • 따라서, 무선 LAN에서 사용되는 매체접근방식으로 정답입니다.

✅ 정답: ❹ CSMA/CA


❖ 한눈에 정리

보기 설명 정오

① ALOHA 초기에 사용된 방식, 무선 LAN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음
② Token Passing 유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방식, 무선 LAN에서는 사용되지 않음
③ CSMA/CD 유선 LAN에서 사용되는 방식, 무선 LAN에서는 충돌 감지가 어려워 사용되지 않음
❹ CSMA/CA 무선 LAN에서 충돌 방지를 위한 주요 방식, 정답

❖ 기억하기 좋은 팁

📌 CSMA/CA는 무선 LAN에서 충돌을 피하기 위한 방식으로, 채널 감지 후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CSMA/CD유선 LAN에서 사용되며, 충돌을 감지하고 다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