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19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3번

엉클지니 2025. 4. 23. 22:43

83.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네트워크에서 두 호스트가 성공적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각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주소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목적지 호스트의 IP주소를 MAC주소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ARP캐시를 사용하므로 캐시에서 대상이 되는 IP주소의 MAC주소를 발견하면 이 MAC주소가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ARP캐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TTL값이 0이 되면 이 주소는 ARP캐시에서 영구히 보존된다.

 

 

 

 

 이 문제는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역할과 작동 원리, 그리고 캐시 처리 방식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예요.


❖ ARP란?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네트워크 통신에서는 IP 주소로 목적지를 찾고, MAC 주소로 실제 전송을 합니다.
📌 그래서, 목적지 IP 주소에 대한 MAC 주소가 필요할 때 ARP가 이를 알아냅니다.


❖ 보기 분석


① 네트워크에서 두 호스트가 성공적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각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주소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

  • 맞는 설명입니다.
  • ARP는 **논리 주소(IP)**를 **물리 주소(MAC)**로 변환해서 통신이 가능하게 만들어 줍니다.

② 목적지 호스트의 IP주소를 MAC주소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

  • 정확한 설명입니다.
  • ARP의 주 기능이 바로 이것입니다!

③ ARP캐시를 사용하므로 캐시에서 대상이 되는 IP주소의 MAC주소를 발견하면 이 MAC주소가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

  • 맞는 설명입니다.
  • ARP 캐시란, 이전에 찾은 IP ↔ MAC 주소를 저장해 두는 메모리입니다.
  • 같은 IP 주소에 대해 다시 ARP 요청을 하지 않도록 효율화합니다.

❹ ARP캐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TTL값이 0이 되면 이 주소는 ARP캐시에서 영구히 보존된다. ❌ 틀린 설명 → 정답

  • ❗ **TTL(Time To Live)**은 캐시 항목의 유효 시간을 의미합니다.
  • TTL이 0이 되면, 캐시에서 삭제됩니다.
  • 즉, TTL이 0이면 캐시에서 제거되지, 영구히 보존되지 않습니다.

✅ 정답: ❹ ARP캐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TTL값이 0이 되면 이 주소는 ARP캐시에서 영구히 보존된다.


❖ ARP 작동 방식 간단 요약

  1. 호스트가 목적지 IP 주소를 알고 있지만 MAC 주소는 모를 때,
  2. ARP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함 → "이 IP 가진 너 누구냐? MAC 주소 줘!"
  3. 해당 IP를 가진 호스트가 자신의 MAC 주소를 응답함.
  4. 이 정보는 ARP 캐시에 저장되고 일정 시간 후 삭제됨 (TTL 만료 시).

❖ 기억하기 좋은 포인트

  • ✅ ARP: IP → MAC 변환 프로토콜
  • ✅ ARP 캐시: 한 번 알아낸 MAC 주소를 일시 저장
  • ❌ TTL이 0이 되면 삭제됨, 절대 "영구히 보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