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19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5번

엉클지니 2025. 5. 7. 21:35

25. 기억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는 것은?

    Random Access Memory            Associative

    Read Only Memory                     Virtual Memory

 

 

 

 

 이 문제는 기억장치(메모리)의 종류와 동작 방식을 묻는 대표적인 개념 문제입니다. 특히, **"주소가 아닌 내용으로 접근한다"**는 부분이 핵심 힌트입니다.


🔍 문제 분석

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는 것
이건 일반적인 주소 기반 접근 방식(RAM, ROM 등)과 다릅니다.


🧠 핵심 개념 정리

각 보기에 대한 설명

보기 설명

① Random Access Memory (RAM) 주소를 이용해 메모리의 특정 위치에 직접 접근. 내용 기반이 아님.
❷ Associative (연상기억장치, CAM) 주소 대신 데이터의 내용 일부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기억장치. 즉, 내용 주소 지정(Content Addressable Memory)
③ Read Only Memory (ROM) 읽기 전용 메모리로, 주소 기반으로 접근함. 내용 기반 아님.
④ Virtual Memory 가상 메모리. 실제 메모리 주소를 가상 주소로 매핑하지만 여전히 주소 기반. 내용 기반 접근 아님.

🎯 핵심 포인트

"주소를 이용하지 않고, 내용의 일부로 검색한다"
→ 이는 **Associative Memory (연상 기억 장치)**의 특징입니다.


✅ 정답

❷ Associative


📘 학생용 쉬운 해설

보통 메모리는 주소를 가지고 찾아가는 방식이에요.
근데 Associative Memory는 특별해요!

"이런 내용을 가진 데이터 어딨어?" 하고
내용 일부를 기준으로 찾아줘요.

마치 전화번호부에서 이름으로 찾는 게 아니라,
“이 사람은 ‘010-1234’로 시작해요”처럼 내용으로 찾는 거죠!


📊 요약 표

메모리 종류 접근 방식 특징

RAM 주소 기반 빠르게 읽고 씀
ROM 주소 기반 내용 변경 불가
Virtual Memory 주소 기반 물리 메모리를 확장하는 기술
Associative 내용 기반 데이터 내용 일부로 탐색